이글에서는 역사학의 가장 핵심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변화’개념의 성격과 학습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역사변화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와 실제 수업에서 역사변화를 어떻게 다루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변화’개념을 가르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변화’는 역사학과 역사연구의 주된 관심이며, 역사적 사실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변화개념을 가지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 기반으로,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역사변화는 과학과는 달리 원인과 일어난 결과 사이에 필연성을 가지지 않는다. 다만 그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보여주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변화는 경향성을 보여주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경향성에 어긋나는 사례가 있더라도, 그 경향성 자체를부정할 만한 것이 아닌 한 역사변화는 성립한다. 국사교과서나 실제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역사변화의 개념을 제대로 전달하고 있지 못하다. 사회 안정은 발전이며, 변화는 혼란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역사인식은 역사의 전개과정을 순환론적이라고 보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사회변화의 원동력을 국가의 정책이나 지배층의 사회적 태도에서 찾게 한다. 역사변화를 올바로 인식하려면 시간개념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연대개념은 역사변화를 인식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학생들의 변화개념을 높이려면, 변화를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조직할 수도 있다.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 시기, 중요한 변화를 일으킨 사건으로 교수요목을 조직하는 것이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구체적 사실을 통해 역사변화를 접한다. 여기에서 역사적 사실의 변화는 주로 인과관계로 구성된다. 학생들이 역사적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형적으로 비슷해 보이는 사례를 비교하여 역사적 사건을 일으킨 참원인을 찾는 방법이 있다. 역사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反事實的힘을 고려하는것도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발전의 관점과 변화를 일으킨 주체의 처지에서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는 것도 필요하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change’concept, the key concept of history, and suggested some methods of teaching it. First, I reviewed the meaning of historical change in historiography, and analyzed historical changes written i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explained by history teacher during Korean history classroom. Finally, I suggested some techniques of teaching the‘ historical change’concept on the basis of researching them. ‘Change”is the main concept focused in historical study and history teaching and presented the specific character of historical facts. The acquisition of ‘change’concept helps us understand historical facts, so it has been to presented as a important objective of history teaching. Historical change does not have the necessity of causing the consequence unlike natural science. It is sufficient for it to show the probability of the fact. Accordingly, historical change is a sort of the tendency in historical development. Even if there are some instances in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change, it is valid only if they don’t fundamentally contradict with it. The concept of historical change has not been reasonably presen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eachers’explanations in Korean history classrooms. They bring about the impression that the social stability i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change is the confusion. It is probable that such a historical perspective makes pupils have the view of thinking the historical process as a circulation and regard the dynamics of social change as national policy or ruling classes’social stance. Time concept is necessary for effectively understanding historical change. In particular, chronological concept has a main part of developing ‘change’ concept. To develop pupils’the concept on historical change, the syllabus, which is centered on historical topics and events relating to historical change, is useful. The syllabus is organized with historically meaningful periods and critical moments causing important events. Pupils learn the ‘historical change’concept through specific facts. The change of historical fact is presented as the form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t is a useful method for pupils to develop the function of understanding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to compare two instances which happened in the seemingly similar circumstance. We explore the true cause of historical fact through such a history lesson. It is also useful to investigate the counter-factual power to prevent the historical change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And we think historical facts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 and in the place of main agents causing them.
1. 머리말
2. 역사학에서‘변화’개념의 성격
3. 국사교과서와 수업의‘역사변화’인식
4.‘ 변화’개념의인식을위한학습방안
5.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