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등장하게 된 조선 멸시관 및 침략괜11 대한 사상적 배경과 그 연장선에서 주장되던 정한론 · 틀서가론을 통해 흔택어| 대한 침략의지가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강화도조약 체결은 일본에게 한반도로 영향력을 확대해나가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일본은 정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일으키면서 효택과 아시아에 대한 침략행위를 노골화해나갔다. 그리고 일본은 불법적01고 부당한 조약체결 등을 통해 결국에는 효택을 강제병합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역시적 경위에 대해 일본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들의 서솔을 2가지 분석항목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역사인식을 유추해볼수있었다 1. 시상적 배경으로서의 조선침료때| 관한 논리: 메이지 전후 시기 등ε한 조선 침략의 논리를 살펴보았다 흔택침르뻐| 대한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요시다 쇼인(놈뻐생훨의 주장은정한론, 틸아론과 언계를 시키지 못하고 있다. 2. 효엘강제병합까지의 과정: 한일강제병합에 이르는 일련의 사건들 가운데 강화도 조약,정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러일전쟁 발벌과 함께 전개되는 일련의 효옐 간 조약체결과 병합과정을 일본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일본사 교과서 가운데 높은 비중으로 채택되는 山川出빠t 교과서들은 제 사건들에 있어서 일본의 침략성을 희석시키고 오 히려 신제국주의 시대의 흐름에 맞서 자국을 방위효!Lf는 논리로 한반도 침르k을 정당화시키려는 경향이다. 반면, 홈敎出版 교과서는 조선에 대한 침략적 의도를 갖고 역시적 사건들을 전개해나갔음을 SA념|고 있으며 효빌강제병합에 이르기까지 체결된 각각의 협정에 대해 그 의도와 내용을 자세하거| 언급하고 있다. 메이지 시기 일본의 지도자들이 안보론과 결부시키면서 한반도가 일본을 지키는 중요한생명선이라는 논리로 침략을 정당화하고자 했던 인식이 현재까지 일본의 주요한 역사교과서에 계승되고 있다는 점은 우려되는 부분01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당시 조선으로의 세력 확대를 위해 전개되었던 역사적 사건에 대해 칠략성을 밝히고 학계의 연구 성과를 브명한 긍정적 서술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항후 한일 간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갈등과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1 .서론
II. 사상적 배경으로서의 조선침략에 관한논리
lll. 한일강제병합까지의 과정
I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