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사가 역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그에 따라 역사의 흐름을 어떻게 새롭게 체계화하여 가르치고 있는지를 ‘살아있는 삶을 위한 역사교육’을 추구했던 전국역사교사 모임의 선생님들의 학습 실천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역사를 살아있는 삶의 차원에서 접근한 교사들은 자아를 시공으로 확장하여 역사공동체의 고통을 극복하고 희망을 추구하기 위한 선인들의 면면히 이어져 오는 실천을 찾아 이를 체계화하고 계승하는 작업을 중시하였다. 역사 체계화의 노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조선건국에서 동학농민 전쟁에 이르는 시기의 역사를 민중의 관점에 입각하여 하나의 역사 이야기로 생성시키는 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조선건국 당시 토지 개혁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농민의 요구와 지향은 미약하게 존재했으나 진주민란에 오면 점점 뚜렷해지고 동학 농민전쟁 시기에 이르면 반외세, 반봉건을 토대로 새로운 세계를 능동적으로 세우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의 역사탐구는 반대 관점에 의거하여 숨어있었던 민중의 목소리와 실천을 찾아내고, 그 계승 관계를 추적하여 하나의 연속적 역사 흐름으로 체계화하고, 이를 현재에 계승하려는 노력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eachers recognize the history and how they newly contextualize the historical stream on the basis of the practice of Organiz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which is seeking for History Education for Living Life . Teachers, who have approached history in terms of living life, have extended the self temporally and spacially, sympathizing the suffers and sorrows of the historical association as their own. In addition, they emphasize the contextualization and the inheritance of the ancestors efforts, which were to overcome the struggles. It is also investigated how the history from the founding the Chosun Dynasty to the Donghag Peasant War is generated as one historical 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in order to examine the efforts for systemizing history in detail. During the Donghag Peasant War, the peasants demands for the new world existed, but it was hidden. In times of Peasant Movement of Chin-ju, however, they were established more clearly and were represented as an active action of founding new world based on the anti-Aggression and anti-Feudalism. The explor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as been accomplished in an attempt to find the hidden voice and practice of the people, to track the successive relation and formulate a context as an continual historical stream, and to inherit this to our present world.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교사의 역사 인식과 역사의 새로운 체계화
Ⅲ. 조선 건국 재판극에서의 민중의 관점과 상대적 진보의 세계
Ⅳ. 조선후기 농민 항쟁의 극화와 역사의 주인으로서 민중의 성장
Ⅴ. 동학농민전쟁의 극화와 민중 중심의 새로운 역사체계의 생성
Ⅵ. 맺음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