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9.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국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Korea in World History Textbooks Widely Adopted in the United States

  • 59

본고는 미국의 21개 주에서 채택 빈도가 높은 세계사 교과서 6권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세계사교과서에 등장하는 한국사는 분량 면에서 소략하고 이미지 면에서 부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근대 시기에서는 한국의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 발전을 조명하고 있으나, 한국의 창조적 역량이나 주체적 변혁에 대한 서술은 여전히 미흡하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한국에 대한 서술의 초점을 문화적으로는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 정치적으로는 중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민족으로부터의 침략을 받았다는 점에 두고 있음으로써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한국인의 주체적 역사 발전 과정을 축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how Korea is treated in American world history textbooks. The textbooks examined in this project were widely adopted in 21 states. This study mainly examined the images the textbooks conveyed by centralizing or marginalizing specific aspects of Korean cultural features and historical experiences. Few errors and distortions were found. However, problems are found in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Korea in terms of the representativeness and appropriateness whereas they tend to emphasized the treasured heritage of Korean culture. The numbers of pages devoted to Korea is less than those to China or Japan. Furthermore, many textbooks emphasized Korea s cultural dependency on China and its colonial experiences rather than its cultural creativeness and independent historical trajectory.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분석 방법

Ⅲ. 분석할 교과서 선정

Ⅳ. 교과서별 내용 분석

Ⅴ. 미국 세계사교과서에서 ‘강조’된 지역과 ‘축소’된 지역

Ⅵ.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