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 동향

A Study on the Trends, Practices, Future Tasks about Student s Writing Activities in History Classes

  • 189
135291.jpg

역사글쓰기는 1990년대 초반부터 ‘학생들을 주체로 세우는 역사수업 방법’의 차원에서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실천되기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역사교육의 특성을 살린 수업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특히 ‘전국역사교사모임’의 다양한 글쓰기 수업 실천들은 역사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과 평가를 일관하는 ‘역사글쓰기 수업론’으로 체계화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아직까지 ‘역사글쓰기’를 본격적으로 다룬 학술 논문들은 많지 않지만, 역사교육학계의 역사적 사고력 연구나 비판적 읽기쓰기 연구 등이 현장의 글쓰기 수업 경험에 개념적 체계를 부여하는데 기여하였다. 최근에는 ‘역사교육론’ 개론서에 글쓰기 항목이 독립된 수업 방법으로 자리 잡았고,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들에서 ‘역사글쓰기’는 체험글쓰기와 논증적 글쓰기 유형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각종 연구 성과, 석사학위논문들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역사글쓰기 담론에서는 향후 쟁점화 하여 연구 과제로 삼아야 할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역사적 사고력의 함양에 역사글쓰기가 기여할 수 있다’라는 식의 단순화이다. 이는 역사적 사고력과 역사글쓰기를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흐를 수 있다. 앞으로는 역사적 사고력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역사 글쓰기의 목적에 좀 더 본질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전국역사교사모임’의 역사글쓰기 수업론에서 학생의 주체적 자기인식을 강조하는 것이 좋은 참고가 된다. 둘째, 좀 더 폭넓게 역사글쓰기에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최근 역사체험 글쓰기 외에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하고 더불어 비판적 읽기쓰기의 유용성에 주목하게 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역사논술 수업 사례, 그 효과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역사글쓰기 유형별로 목적과 방법론을 세분화하여 체계화하는 데 수업과 이론 연구 모두에서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셋째, 비판적 역사 읽기쓰기를 통해 학생들이 구성하는 역사지식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비판적 역사읽기쓰기의 이론적 근거는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텍스트론이다. 이 입장에 따르면 학생은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역사 텍스트의 독자’이자 역사지식의 생산자가 된다. 그렇다면, 학생이 생산한 역사지식을 어디까지 인정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된다. 학생이 주체적 독자가 된다는 것은, 주체적 자기인식에 이르기 위한 과정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지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 비판적 읽기쓰기는 자신이 스스로 구성한 역사상이나 지식에 대한 성찰의 과정이 결합될 때 의미가 있으며, 자기 인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early 1990’s, many leading history teachers at the chalkface have tried to make good use of ‘historical writing’ or ‘writing historical essay’ as a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nd about mid-2000’ s ‘historical writing’ was formally recognized as intrinsic methodology in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The Organiz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s’ have done much to establish the basis of teaching methodology of ‘historical writing’ Ye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istorical writing’, but the fruition of major studies on historical thinking and critical reading of historical texts have contributed powerfully to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system for teaching methodology of ‘historical writing’. Domestic research trend and current status of ‘historical writing’ in school education field, reflected in papers of masters degree in history education tell us several problems which will be key issues near future. First is to get out of the ‘simple schematic approach’ ; ‘historical writing’ is highly effective to promote historical thinking or thinking skills. A mission put before us is to dig out hidden talent of ‘historical writing’ more essentially, in relation to aims of history education. Second, we need to investigate various types, categories of ‘historical writing’ in class more widely, getting out of overvaluation of empathetic ‘understanding based experiential writing’. So, recent increase of interest on argumentative -writing in history class, and critical reading of history and writing history is very encouraging. Thir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knowledge that students ‘learn themself’ should be one of the major controversial issues in teaching methodology of ‘historical writing’. A students have to be reader and writer of his own in history class, but this is not the ultimate objective. Critical reading of history and writing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tudent’s self-awareness, only with the necessary condition, self-examination on historical knowledge and interpretation of himself.

내용요약

Ⅰ. 여는 글

Ⅱ.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의 전개

Ⅲ. 역사글쓰기 연구의 몇 가지 쟁점들

Ⅳ. 맺는 글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