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역사교육과정은 초, 중, 고를 거치면서 한국사 통사를 3번 반복하는 형태이다. 연대기적 통사 구조가 각 학교급별로 형식의 차이는 있지만, 그 내용을 분석해 보면 같은 내용을 수준을 달리하여 제시하는 형태이다. 연대기적 통사 구조는 기본적으로 시대별로 많은 역사적 사실이나 개념을 서술해야 함으로써 역사의 전체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앞의 사실과 뒤의 사실 사이의 인과관계적인 서술로 학생들의 역사 이해를 어렵게 하는 면도 있다.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그 내용이 수준만 심화된다면, 역사교육에서 입문기인 초등학교에서는 다른 체제로 접근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본고에서는 현 초등학교에서 1년간 실시되는 사회과 역사교육 내용에 대한 연대기 중심 구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초등학교의 발달 단계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주제 중심 구조로 구성해 보았다. 역사 내용 선정은 학문적 측면, 학습자의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초등학생들의 입장에서 학습자의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의 흥미성, 자기와의 관련성,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주제 중심적 접근 방안으로는 11가지 주제(단원)를 구성하였으며, 각 주제별로 소주제를 5~10가지 제시하였다. 역사교육의 입문기인 초등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이 생길 수 있는 주제 중심 학습을 통하여 역사가 단순히 암기의 대상이 아니라 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역사적 상황을 맥락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각각의 구체적인 수업 계획과 실행은 차후 연구 과제로 미뤄둔다.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 has a repetitive format, which means learners study history with recurring themes that expand and gradually become more difficult throug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f this repetitive study format continues in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n, any attempt to change must star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here history education begins.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it presents the problems of a one-year curriculum and historical content based on the chronological method in elementary school. Second, it trie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 thematic-centered method as an teaching approach. According to the thematic-centered method, aspects of the learners such as interests, relevance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must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article suggests 12 themes which consist of 5 to 10 sub topics each with the view of organizing methods in the thematiccentered approa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elemenatary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because this period is the introductory stage of learning hist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young learners to recognize the real meaning of learning history. We need to lead learners to understand that ‘history’ is not only a subject we should study and memorize, but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mselves.
내용요약
I. 머리말
Ⅱ. 반복된 연대기적 통사 구조의 한계
Ⅲ. 주제 중심으로의 내용 선정 기준
Ⅳ. 주제 중심 내용구성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