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 역사교육 담당교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일 상호이해롤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시험성적을 더 의식해서, 역사적 사실을 기억시키는 학습을 중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역사의 특성이나 역사를 배우는 의의를 중시하는 역사수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 연구의 결과와 카마다의 선행 연구의 결과(한국의 중학생이 역사 용어를 더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 등)에서, 한국의 역사교육은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이해시키면서, 역사 용어를 알게하는 것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는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고 하면서도, 눈앞에 닥친 시험의 압력 때문에 역사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本稿では, 日本と大韓民国の歴史教育担当教師の歴史認識·歴史意識, 歴史教育の内容と方法に関する調査研究の結果と考察をもとに, 日韓相互理解をめざすための基礎的な資料を提示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 調査研究の結果, 次の二点が明らかになった。 1点目は, 日本の歴史教育担当教師の方が, 受験学力者を意識し, 歴史的事象を覚えさせる学習を重視していることである。 2点目は, 韓国の歴史教育担当者の方が, 歴史の特性や歴史を学ぶ意義を大切にして, 歴史教育実践に取り組んでいることである。 これらの調査研究の結果と釜田の先行研究の結果(韓国の中学生の方が歴史的用語の定着度が高いなど)から, 韓国の歴史教育は, 歴史を学ぶ意義や意味を理解させつつ, 歴史的用語の定着も大切に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一方, 日本の歴史教育担当教師は, 歴史を学ぶ意義や意味を理解させたいと思いつつ, 目の前に迫る受験圧力の前に, 歴史の授業の内容と方法面において苦悩している様子がうかがえた。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결과
Ⅳ. 연구의 고찰
Ⅴ. 연구의 정리
日本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