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4.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수학능력시험 역사영역 평가목표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Methods of History Part s Evaluation Objective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 25

2005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수능체제에서는 사회탐구영역에 속하는 과목 모두 분과형 문항으로 출제되고 있다. 그리고 역사과는 사회과와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평가 목표를 가지고는 학생들의 역사능력을 올바로 측정할 수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본고에서는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사영역 단독의 평가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지적한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의 문제점으로는 ‘문제 인식 및 파악’이라는 평가목표의 개념이 모호하고, ‘탐구 설계 및 수행’에서 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없으며, ‘결론 도출 및 평가’라는 평가목표가 다른 평가목표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는 점 등이 있다. 그리고 역사영역에서 출제된 평가문항을 분석해 볼 때 ‘문제 인식 및 파악’과 ‘자료 분석 및 해석’이라는 평기목표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는데 반해, ‘탐구 설계 및 수행’에 해당하는 문항은 적었고,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에 해당하는 문항은 전혀 없었다는 점도 평가목표의 적절성을 의심케 히는 증거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역사교육목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목표준거를 분석함으로써 역사영역에 적합한 평가목표를 새로 설정하였다. 역사지식의 이해, 연대기의 파악, 역사 상황 및 쟁점의 인식, 역사탐구의 설계, 역사자료의 분석 및 해석, 역사적 상상 및 판단이 그것이다. 이들 평가목표는 수능의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목표준거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problems of social studies inquiry part s evaluation objective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s of history part s evaluation objectiv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urveyed previous articles and analysed 14 years history item and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Problems found in this study about me social studies inquiry part s evaluation objectives were me vagueness of awareness and grasping of problems , the inappropriateness of planning and performing of inquiry , the equivocality of drawing of conclusion and evaluation , and so on. Because of the above problems and uniqueness of history, I surveyed previous articles about history education objectives and suggested new evaluation objectives of history part. Those are understanding of history knowledge, grasping of historical chronology, awareness of historical situations and issues, planning of historical inquir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sources, historical imagination and judgment. Understanding of history knowledge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memory of important historical facts, concepts and principles. Grasping of historical chronology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understanding of continuousness, changes and developments of history. Awareness of historical situations and issues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awareness of arguments and issues in historical situations. Planning of historical inquiry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selection of appropriate methods for the solution of historical problem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sources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interpretation of social backgrounds and historical meanings in historical sources. Historical imagination and judgment is the evaluation objective about judgment of historical facts and actions appropriateness in contemporary periods.

내용요약

Ⅰ. 머릿말

Ⅱ. 사회탐구영역 평가목표의 문제점

Ⅲ. 역사영역 평가목표의 개선방안

Ⅳ.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