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사적 표현을 활용한 국사교과서 서술 방안

A Strategy for Improving Descriptions in Korean History Textbook by Using Figures of Speech

  • 24

역사가, 교수, 교육과정 전문가, 교사, 그리고 출판사 등에 의해 쓰여진 역사교과서의 저자들은 모두 전지전능한 사람들로, 역사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이나 관점에 대한 어떠한 실마리도 주지 않는다. 하지만 교과서 안의 역사 서술은 역사가에 의한 해석의 결과일 뿐이다. 그렇기에 겉으로 교과서 저자는 아무런 입장을 취하지 않는 혹은 전지적인 위치에서 서술하고 있는 듯이 보이나, 읽는 이들은 저자가 만들어 놓은 간접적인 장치를 이용해 저자의 목소리를 느낀다. 독자들이 저자의 의도를 안다는 것은 저자와 독자 간의 다양한 관계 즉, 독자의 이해를 촉진하고 텍스트에 대해 감성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등 열린 관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메타담론이라는 수사 장치를 활용하여 현 국사교과서 안에 보이는 강조적 표현, 확신적 표현, 추측적 표현, 평가적 표현의 4가지 수사적 표현을 만들어보고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수사적 표현이 들어간 글을 읽는 이들은 서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고 읽은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다. 더불어 저자와 의사소통을 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하고, 더 나아가 학생들이 저자의 관점에 대해 이견을 가질 경우 자기의 생각을 정립해 나가는 비판적인 태도를 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학생은 강조적 표현을 통해 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확신적 표현과 추측적 표현을 보고 저자의 주장을 판단할 수 있으며 평가적 표현을 보고 저자의 판단에 대해 비판을 가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다양한 수사적 표현이 교과서 서술에 사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사적 표현을 활용한 서술사례를 제7차 국사교과서 근세의 문화사 단원을 중심으로 발굴해보았다. 다른 단원에 비해 문화사 단원은 ‘훌륭하다’, ‘우수하다.’ 등 저자의 평가적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수사적 표현이 약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A history textbook written by historians, professors, teachers has no clues for private viewpoints and comments about history events or facts. History descriptions in the history textbook are the results of me historian s thought, proposal and aims. Readers who know the author s voices and viewpoints can communicate with the author easily, and read the textbook fast. They can form emotional responses to me text. Accordingly, in this chapter I made the figures of speech, mat is, emphasis, conviction, supposition and evaluation. and I tried to look for its desirable use. Generally, readers who know me figures of speech well have an interest and concern about descriptions, and can memorize the facts which they read before well. Moreover, students can be judging in their thoughts in other words, students can have a interest about descriptions by emphasis and judged by convictions and supposition and criticize author s viewpoints by evaluation. Therefore, I presented description example by me use of various figures of speech corrected in textbook according to cultural history from the 7th history textbook. Though the descriptions in cultural history have more evaluation compare to other figures, there are few figures of speech on the whole. So, I made the new descriptions by insetting proper figures of speech.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메타담론을 이용한 수사적 표현 분류

Ⅲ. 국사교과서 안의 수사적 표현과 그 활용

Ⅳ. 수사적 표현을 이용한 문화사 단원 서술사례

Ⅴ.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