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5.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매체 읽기와 현대사 이해

A Reading of Media and Understanding Contemporary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96

본 연구는 현대사 수업을 초등학생과 어떤 관점에서 어떻게 펼쳐갈 것인지를 수업 실천을 통해 행했다. 수업 실천은 우리 현대사의 중요 장면 중 하나인 5·18 민주화운동 사례로 선정했다. 역사적 사건이나 의미들을 읽어 낼 수 있는 모든 매체를 역사 텍스트라고 할 때, 본 연구에서 시용한 세 가지 매체는 역사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연구에서 활용한 매체는 동화, 영상 다큐, 만화이다.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현대사 수업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에게 보다 효과적인 역사 학습을 위해 교과서보다는 위 세 가지 매체를 훨용하였다. 5·18 민주화 운동 등의 현대사 수업은 제한적이며 단편적인 서술로 제시된 현행 교과서로는 한계가 많기 때문이다. 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매체들을 선정해서 현대사 수업을 하면 초등학생의 역사 이해를 항상시킬 수 있다. 이는 초등학생이 현대사를 이해하는 방식과 맞물려 있다. 초등에서의 현대사 수업은 공감적 이해에 주안점을 두면서 차츰 역사적 사실을 심화하는 형태로 풀어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낯선 역사적 사실이 매체를 통해 익숙해지고 현대사가 주는 문제를 학생 스스로가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초등학생은 불쾌하고 힘들게 느껴질 수 있는 현대사를 유쾌한 배움의 과정을 통해 새롭게 살펴볼 수 있다. 결국 현대사 수업을 통해 학생은 현 사회를 바르게 바라보고 올바른 자아의식을 가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and with what kind of perspectives contemporary history can be taught to elementary students, The May 18th democratic movement was selected for this case study. Although there are many mediums which can be considered as historical text, this study examines three media as histolical text. The three media included in this study were fairy tales, documentary film and carto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history class, this study has used those three media rather than textbooks as forms of effective historical learning in an elementary school. There are limitations to teach contemporary history like the May 18th democratic movement with the textbook now in use, because this speaks about history in a limited and fragmented way. Teaching contemporary history with student-friendly media would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It is desirable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historical facts in stages, by focusing on gaining an empathetic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will become familiar with new historical facts. This learning approach will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think for themselves what meaning can be attributed to contemporary history. This will not increase the difficulty in learning history for students. Through this contemporary approach, student s insights into society and self-consciousness will be more fully developed.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역사 텍스트로서 세 매체 : 동화, 영상 다큐, 만화

Ⅲ. ‘5·18’ 수업 실천 : 세 매체로 역사 보기

Ⅳ. 초등학생의 현대사 이해 방식

Ⅴ. 맺음말 : 불쾌 를 유쾌 로 풀어보는 현대사 수업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