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시기를 탈영토화시대라고 운운하지만 영토는 여전히 한 국가의 존립과 관련되어 있어 영토관련 문제는 중대한 관심사로 부각된다. 우리나라는 일본과의 해묵은 영류권 문제를 지속해왔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일본의 주장에 맞서기 위해 물리적인 대응, 규탄집회와 같은 감정적 대응, 학술 연구, 다양한 실천적 행동으로 대응하였다. 우리의 이러한 대응방식은 독도관련 교육에서도 그대로 재현되는 듯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동안의 축적된 학술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일본의 논리를 체계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논리를 지도하면서 일본과의 대응에 초점을 두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역사적인 관점을 소홀히 한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독도를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 맞서 지켜내야 할 우리 땅이라는 것 이외의 별다른 접근방식을 취하지 않았던 것이다. 독도영유권 문제는 우리에게 독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지만 우리는 독도에 대해 차분히 생각할 겨를도 없이 독도는 곧 지켜내야 할 우리 땅 으로 등식화시켰던 것이다. 독도=일본의 영유권 주장 으로 전제하는 사이 우리는 독도가 지닌 진정한 무의식적 대상을 찾지 못했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발견은 인간에게 의식 이외의 대상으로서 무의식이 있다는 것을 발견해 냈다는 것, 즉 그 동안 생각하는 나 로만 알려진 인간의 의식 너머에 생각하는 나 가 알지 못하는 생각하지 못하는 나 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독도의 무의식은 독도가 오랜 시간동안 간직해온 아픈 역사이며, 그 역사를 만들어 온 사람들의 슬픈 삶이다. 우리는 오랜 시간동안 독도는 우리 땅 이라는 주장을 쉬지 않고 해왔다. 이는 독도를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이다. 우리의 주장은 독도수호의 강한 표현이지만 결핍의 증거이기도 하다. 독도에 대해 우리가 끊임없는 욕망하면서도 독도를 완전히 소유하지 못해왔기 때문이다. 독도에 대한 욕망은 연쇄작용을 일으키면서 또 다른 표현방식을 찾고 있다. 이를 중지시키기 위해서는 독도의 역사와 역사 속 사람들의 삶을 우리들 의식의 수면 위로 드러내는 것이다.
Deterritorialization is common in this era. But the ternitory is still important to a nation, because it is related with her existence. Korea has had an uncomfortable relation with Japan due to Dokdo. Korea has coped with many other measures. These include physical correspondence, a rally denouncing Japan s treacherous acts, showing ill temper lowards Japan, academic research, various practical behaviours. And These correspondences is represented in classroom teaching about Dokdo in histor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about Dokdo has paid too much attention to the confrontation against Japan. So we neglected the historical perspectives about Dokdo, Dokdo has been regarded as a island to be guarded from Japan. We have lost the opportunity to rethink about Dokdo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We still argued Dokdo belongs to Korea to refute the insistence of Japan. During this time, we didn t found the unconsciousness which the Dokdo has. Freud made us aware of the unconsciousness; the unconsciousness exists besides the consciousness, The unconsciousness of Dokdo is the history of Dokdo which was sad, the life of the people who made their histories. We have argued the ownership of Dokdo by revealing the desire of Dokdo, Our desire of Dokdo is the determined attitude to defend Dokdo from Japan and also shows a kind of the deficiency. Endless desire about Dokdo resulted from the imperfect ownership in the mind of Korea. The Desire has found other desires linked with each other to satisfy the ownership of Dokdo. To stop this chains of the desires, we must try to reveal the history of Dokdo and lives of the people on the surface of the consciousness.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독도에 대한 욕망과 무의식
Ⅲ. 독도영유권 문제와 우리의 대응방식
Ⅳ. 독도는 우리 땅 과 역사수업
Ⅴ. 독도이해를 위한 역사교육
Ⅵ. 맺음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