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역사수업이론은 학교현장의 역사수업과는 관련이 없는 이론을 위한 이론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역사수업에는 교과와 관련되거나 교과외적인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역사수업이론은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할 수 없다. 따라서 역사수업이론과 실천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역사수업이론을 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수업이론은 수업모형과 같이 수업의 절차나 방법을 정형화하는 것에서 벗어나 실제 수업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체계화하고 이론화하는데 관심을 쏟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글에서는 역사수업을 둘러싼 논의와 교실 역사수업과 관련이 깊은 요인을 검토하였다. 역사교육의 내용과 교수방법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체계 속에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하는데, 그 중심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수업의 내용은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사실, 그것이 가리키는 의미, 이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사고방식을 모두 가리킨다. 따라서 역사교육의 내용과 관련하여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 이해와 활동을 분리하여 생각하는 것도 별 의미가 없다. 역사수업을 설계하는데 작용하는 중요한 요소는 교사이다. 교사는 교육내용을 수용하는 소극적 존재가 아니라 재구성하고 실천하는 적극적 존재이다. 교사들은 교수내용지식이나 실천적 지식을 동원하여 교과내용을 수업내용으로 변형한다. 교사의 역사교육관, 역사지식, 역사의식 등과 같은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성도 수업재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역사교사의 내용재구성 방식은 역사수업이론이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어야 한다.
History teaching theories had heen criticized as ones for themselves with heing unconnected to classroom, In-subject and out-suhject problems have affected histolY lessons, But history teaching theory cannot reflect these prohlems, So, we should turn a point of view of history teaching theory for connecting it to history classroom, We are necessary for us to escape from making a type of the process and strategy of teaching and to have and interest in explaining and theorizing the phenomena in history classroom, I researched discussions concerning to history teaching and problems relating deeply to history classroom in this aIticle, The content and the teaching method in history education cannot separated with each other, but should be systematically integrated in the teaching plan. The content have an center on making the history teaching plan. Content s in history lesson include historical fact s written in the textbook, meanings of the fact and thinking mode for accounting them, So, it is meaningless to divide knowing that and knowing how , or understanding and working in history subject content. Teacher is an important element in planning history lesson. Teacher is not the passive substance who introduce history subject contents in curriculum or textbook, but the active subject who reconstruct history contents lesson and practice them. Teacher transform historical subject contents into history lesson contents b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r practical knowledge.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teacher, for example perspective on history education, teacher s historical content knowledg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an important effects on reconstructing history lesson, Accordingly, the method of history teacher s reconstructing lesson contents should be researched for improving history teaching.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의 내용과 역사수업
Ⅲ. 역사수업의 방법
Ⅳ. 역사교사와 역사수업
Ⅴ. 맺음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