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역사 교육에서 변화 라는 개념의 학습이 의미하는 바를 고찰해보고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 변화 개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변화 의 개념을 초등학생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변화 개념과 관련된 내용 선정 및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검사지를 초등학교 3학년 5개 학급의 학생에게 투입하여 결과를 얻어냈다. 연구 결과 학생이 변화 개념을 파악하는 유형을 총 일곱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대체로 유형 3, 4의 양상을 띠는 학생이 많았으며 변화 를 이해하는데 시간 개념 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은 약 47%로 절반 정도의 학생이 변화 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시간 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학생들은 어느 정도 시간 개념 을 바탕으로 하여 역사적 개념으로서 변화 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 중 3% 정도는 변화 개념 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변화 가 미친 영향까지 파악하는 수준 높은 사고 과정을 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변화 양상을 인지할 때 볼 수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들은 변화 를 인식할 때 먼저 학생들이 친숙한 현재의 경험이나 주변 환경에서 출발하여 사고한다. 둘째, 역사적 개념 으로서 변화 를 인지하기 위해서 시간 개념 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셋째, 학생들은 대체로 변화 의 양상을 파악할 때 인과관계 에서 단원인(單原因) 으로 파악하며 단기적 관점에서 본다. 넷째, 변화 는 발전하는 것으로만 인식한다. 따라서 역사 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변화 를 가르칠 때 교사들은 지금까지 논의한 학생들의 인지 양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참고로 하여 여러 개념을 관련지어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ird-year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the concept of changes , based on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of changes in history education and analyzing the concept of changes presented as a factor in the education process. The author selec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ncept changes and prepared analysis standards to draw up questionnaires, which were offered to 192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five classes.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were accompani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in answering to the questions in writing and to obtain precis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even types of children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anges. Many of the subjects were type ③ and ④, and about 47% showed a lack in understanding time expression concept when they tried to grasp the concept of changes. Therefore, around half of the children were proved to fail to consider time in understanding changes. However, the rest could understand changes as a historical concept based on time expression concept , and about 3% of them had an elevated ability to think, understanding the concept changes in the context to figure out its influences. In consequence,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schoolchildren when they perceive the aspects of changes and the educational suggestions from them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hen perceiving changes, most children think from their current experiences or environments. Secondly, understanding time concept is important to perceive the changes as a historical concept. Thirdly, most children understand a single cause in the causal relationship when they try to grasp the aspects of changes. Fourthly, children tend to perceive changes only as developing. In conclusion, when coping with the changes as an essential concept in history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able to find 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traits shown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children.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변화 와의 관련 개념 및 분석 준거
Ⅲ. 학생의 변화 개념 인지 양상 분석
Ⅳ. 맺음말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