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6.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교 역사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특징과 개선 방안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Essay Test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Ways of Improving It

  • 85

2005년도부터 국어, 영어,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시행된 서술형·논술형 평가가 2007년부터는 30%에서 50%로 확대·시행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에 고등학교 역사과를 중심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술형ㆍ논술형 평가의 실시 배경과 그 특징을 고찰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서술형ㆍ논술형 평가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올바른 시행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문항에 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서술형·논술형 평가는 ‘학력 신장’이라는 목표 아래, 평가 방법의 개선으로 교수-학습 방법은 물론 학생들의 학습 태도까지 변화시키려는 의도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창의력 등을 측정하는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올바른 정착으로 역사 과목이 암기 과목 이라는 그간의 비판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t has been announced that the Essay test introduced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 2005 will be expanded in 2007 and the percentage of it will be increased to 50%. As the test has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 assessment, this paper deals with three points of the Essay test, focusing on History section. First, the background where the Essay test came to be implemented and its significance in the school education will be discussed. Secon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to this test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a case study. Finally, the ways of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items will be suggested. The Essay test was introduced as a tool which is likely to change the current student s learning attitude as well a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an eventually achieve the goal of fostering academic strength. But, in fact, various barriers in the way of administering the test have caused disruptions to most schools. So, well-organized and effective Essay test forms should be developed, assessing the historical and creative thinking of the students. We hope this study can give a chance to erase the false belief that History is a subject dealing with just simple facts, not creative thinking.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실시 배경

Ⅲ. 역사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실제

Ⅳ. 역사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개선 방안

Ⅴ.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