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288.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의 모색

Peace Issues in History Education

  • 112

평화교육은 반전평화, 인권 보장, 분단 극복과 통일, 개발과 환경교육, 또는 화해와 협력 교육이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때, 역사교육에서도 그런 중요한 부분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역사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런 문제인식 하에 역사교육에서 평화교육은 어떤 식으로 가능하고, 그 방법은 무엇일까를 고민하는 것은 지금 당대의 역사교육에서도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역사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의 내용과 방법론의 확보는 물론 현장역사교육에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평화교육이 가능할 수 있는 선결과제이다.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교사들은 민족의 화해와 협력, 통일의 실현, 평화질서의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실상 파악과 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미군범죄와 미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감춰진 진실을 알고 가르치기,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전평화수업 전개, 현대사에서 비극이었던 4.3항쟁, 여순항쟁, 한국전쟁 시기의 민간인 학살 등 국가권력에 의한 인권 유린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가르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으로 나타나 패권주의에 저항하면서 동북아시아의 평화모색을 위한 움직임이 가시적인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중.일간의 역사교류와 공동연구는 동아시아의 평화는 물론 세계의 평화를 구축하는 소중한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 현대사에서의 분단극복과 통일, 전쟁과 양민학살, 역사왜곡과 동아시아의 평화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부각시킴으로써 평화교육이 역사교육에서도 중요한 과제임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결국은 역사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를 확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게 하는 것이어야 하고, 그것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Peace education is thought to be a kind of powerful mechanism that we can actively cope with the whole crisis of human history and be the needs of the times to secure our human life of the present and guarantee even the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But peace education is never such an easier problem than we expected. The greatest difficulty of peace education is that the present world we live is so anti-peaceful that we lack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by being insensible to this anti-peaceful reality and having no interest in peace problem. Only when peace education includes the important contents of anti-war peace, security of human rights, unification of the divided peninsular, or education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se important elements also can be the core contents in history education.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wo educa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think over how peace education can be taught and what its methods are in the present history education. I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eace education are secured in history education, the concrete and practical peace education can be possible in history education of all the schools. History teachers in Korea are keeping making efforts to achieve inter-Korean reconciliation, cooperation, unification and construction of peaceful order. Especially, the main contents they teach with interest are as follows. 1. project for understanding real circumstances about the dispatch of Korean troops to Vietnam and cooperating with it 2. Knowing hidden truths about U.S. soldiers crimes and massacre of Korean civilians by U.S. armed forces and teaching them to students 3. Development of anti-war peace classes about U.S. invasion upon Iraq 4. investigating and teaching the infringements upon human rights by state authorities such as Uprising April 3 in Jeju, Uprising in Yeosu and Suncheon and massacre of civilians during Korean War A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mmunity of East Asia is remarkably appearing, which is for protesting against the hegemonism exposed to China s “Northeastern Project”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 distortion and groping peace in East Asia. Especially, the historical exchanges and joint research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re necessary for constructing peace not only in East Asia but in the world. Like this, the problems about unification of the divided peninsula, war and massacre of civilians, history distortion and peace of East Asia being in priority highlighted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peace education will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in history education. After all, history education has to aim to give clues to secure peace,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contribute to making the world peaceful.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평화와 평화교육의 개념

Ⅲ. 평화연구와 평화교육의 방법론

Ⅳ. 역사교육으로서의 평화교육

Ⅴ. 맺음말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