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교과서 서술에 교육과정이 어느 정도의 규정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폈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형식 및 정도는 교과서 발행제도, 집필진의 교육과정 인식 등에 의해 달라진다. 교과서의 외형을 보면 국정 국사 교과서 간에 교육과정 수용 정도에서 상당한 편차를 보인다. 국정제라는 교과서 발행제도의 변수가 균질하게 작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교육과정의 법적 규정성과 교과서 집필진의 교육과정에 대한 자율성이 어떠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문제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필요함을 말해 주고 있다. 이 글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국사」 교과서 삼국시대 미술 분야를 구성체계와 설명 소재의 변천을 살펴보고, 내용에 대한 검토에서는 그림, 건축, 조각.공예, 삽화 순으로 정리하였다. 분석한 교과서는『국사교본』에서 제6차 교육과정까지 총 30종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에서 미술 분야는 정치 사회의 서술과 별도의 문맥으로 서술되어 시대상과 연관이 적다는 점이다. 미술은 당시의 생활, 시대정신과 미감의 총체적인 구현이므로 그러한 바탕 위에서 풍부한 문화사적 서술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 관련 내용 서술의 관점 문제이다. 미술 분야 내용의 서술이 예술품 감상하는 투로 되어 있다. 셋째, 교과서 삽화의 게재 형태가 미술품만의 나열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국사 교과서에서 삽화 사진의 선택은 삽화만을 엮어도 한 권의 역사책이 될 수 있는 풍부하고 적절한 삽화를 면밀하게 배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차츰 귀족 중심의 문화를 대상으로 한 서술로 변화하였다.
This study covers the transitional process of art from the age of the Three Countries. In this study, the art field from the age of the Three Countries has been analyzed from 30 kinds of history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covering from the history handbook to the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and has been divided into three parts: a painting, architecture, sculpture and craft, and an illustration. First, art field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separate contexts from the statements of the political society, its contents have not been related to the phases of the times. Second, the next problem is about the point of view describing the contents related to art. That is, the contents about art field have been described, like appreciating art works. Most art works have been described as be beautiful , be splendid , be famous and be excellent Third,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have been presented just by arraying art works. Fourth, with the transition of the curriculums, the art contents in the textbooks have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nobility-centered culture.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미술 분야의 구성 체계 및 소재의 변천
Ⅲ. 서술 방식과 내용의 검토
Ⅳ. 맺음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