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도시재생 우선지역 결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 of Urban Regeneration Priority Area Considering Physical Environment

  • 281
135721.jpg

최근 다시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논의가 학계를 벗어나 일반 대중들에게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기존의 노후화된 도시를 정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어진 것이 아니라,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문학과의 통섭 등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지역 전반의 쇠퇴실태 분석을 건축물의 내용연수를 통해 쇠퇴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도시재생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GIS와 공간분석 및 공간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 대상지 선정의 핵심인 노후 불량 건축물의 비율과 밀집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살펴보면 도시재생이 필요한 지역 또는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어느 한 지역이 아니라 서구 전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한된 정부재정 규모 내에서 실행되어지는 도시재생 관련 사업에서 도시재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Recently, discussions about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have been actively moving out of academia to the general public. Urban regener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old aged city, but various approaches such as the consensus of the humanities with the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are being t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for the declining areas through the service life of buildings as well as the urban declining situation analysi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analyze the ratio and density of old and bad buildings, which are the key to the selection of urban reclamation sites in Korea by applying GIS, spatial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region where the urban regeneration is necessary or the region with high possibility is not the one region but the whole region of Sae-gu. And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o prioritize urban regeneration in urban regeneration-related businesses that run within a limited government budget.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실증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