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분야 NCS기반 능력중심채용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centered Recruitment Based on NCS in the Cadastral Field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3권 제2호
-
2017.0833 - 46 (14 pages)
- 374

최근 정부에서는 미래 국가경쟁을 이끌어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산업별로 NCS를 개발하였으며, 능력있는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공공기관 신입사원선발방식을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중심으로 한 NCS기반의 새로운 능력중심채용방식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행 능력중심채용방식으로는 분야별 특성에 맞게 개발된 NCS 능력단위를 지원자가 이수하였는지에 대한 검증체계가 미흡하여 지원자의 실무적인 직무능력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국토정보공사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NCS기반의 능력중심채용선발 방식의 문제점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적분야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 NCS 심층면접방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NCS in order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that will lead future national competition, and to realize a capacity-based society, not a educational background. In order to secure competent talent, NCS-based new capacity-based recruitment system focusing on job basic abi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is being promoted in the selection method of new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applicant s practical job ability because the verification system for applicant s completed NCS ability unit developed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surveyed LX new employee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NCS based competencycentered recruitment selection method and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urse evaluation qualification system in the cadastral field and NCS in depth interview method
1. 서 론
2. NCS기반 능력중심채용에 따른 직무능력평가
3. NCS기반 능력중심채용에 관한 설문조사 및 분석
4. NCS기반 능력중심채용 선발 방식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