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Stories Get Launched in Korean EFL Learners’ Conversation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7권 16호
-
2017.08537 - 557 (21 pages)
-
DOI : 10.22251/jlcci.2017.17.16.537
- 121
본 연구는 한국인 EFL 학습자들의 영어 대화에서 발생하는 이야기가 어떻게 시작되는지를 대화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대화 중 이야기를 진행 할 때 단일 말차례(single turn)로 시작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의 대화 주제와 관련 있는 이야기를 시작할 때에는 when, yesterday, one day와 같은 시간 지시 표현이나I heard, one of my와 같은 관용적인 표현의 장치를 활용하였다. 요약문의 구성을 통한 이야기 시작 방식도 현재의 대화 주제와 일치하는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채택되었다. 대화의 주제와 다른 내용의 이야기를 소개할 때 한국인 학습자들은 actually나 oh와 같은 분리 표지어(disjunctive marker)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이러한 단일 말차례 이야기 시작 방식과 더불어 두 번의 말차례 교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야기 시작 양상도 학습자들의 대화에서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러나 prompting, provoking, reminiscent solicits(Lerner, 1992)나 세 단계의 말차례(Mandelbaum, 1987)와 같이 대화 참가자 간의 협력 및 여러 말차례가 필요한 이야기 시작 방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FL 환경에서의 영어 말하기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ories get launched in Korean EFL learners’ conversations. Adopting a conversation analytic approach, the study analyzed conversations taking place between nine dyads of adult EFL learners and examined instances of storytelling to identify story introducing practices. The analysis showed a single turn launch was the common practice for starting a story both coherent with and discrepant from the topic of the ongoing talk. Entry into conversations with a coherent story was accomplished via prefixed devices such as time referents (when, yesterday, one day, etc.) and conventional phrases (I heard and one of my). Notably, formulating an abstract statement was also employed to introduce a story consistent with the ongoing talk. For stories disfluent from the preceding talk, the learners adopted the disjunctive markers of actually and oh to signal the unexpectedness of their story entry. Additionally, a story preface sequence performed in two turns was adopted to introduce a story. However, the collaborative means of story preface assisted by interlocutors and stories initiated through three-stage turns were not found in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EFL learning and teaching are discussed.
I. Introduction
II. Review of Literature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