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한중 호칭어 대비 연구
A Study on the Contrast between Korea and China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국제문화연구
- Vol.3 No.1
-
2010.0287 - 100 (14 pages)
- 691

본고는 한중 호칭어를 이름호칭어, 직함호칭어, 대명사호칭어, 친족호칭 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실제 사용상에서의 차이점을 고찰했다. 이름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성 뒤에 호격조사나 접미 성분을 사용하여 불렀으나 중국어에서는 나이가 비슷하고 익숙한 사이면 남녀를 불문하고 상대의 이름을 부를 수가 있었다. 직함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직함 뒤에 님 이나 직함 앞에 성을 붙여야만 호칭어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중국에서는 직함이 단독적으로 호칭어가 될 수 있었다. 대명사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한국의 대명사호칭어는 등급이 세분화 되어 있어 제약이 많았은데 중국어의 대명사호칭어는 제약을 받지 않기에 한국어에 비해 사용 면에서 훨씬 자유로웠다. 친족호칭어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한국어의 호칭어는 화자의 성별에 따라 호칭어가 뚜렷하게 구별됐다. 반면 중국어는 화자의 성별에 관계없고 그 호칭어가 같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