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층의 조성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Technique by Compositional Analysis of Soil Stratum with Basement at the Mireuksaji Stone Pagoda

  • 114
135681.jpg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미륵사터에 세워진 탑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국보 제11호이다. 이 석 탑은 이미 부분적으로 원형을 상실한 상태로서 현재는 완전히 해체되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지반에 대한 판축기술 및 제작기법을 해석하기 위해 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에 사용된 토층을 층위 별로 구분하여 물리적, 재료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륵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지반 토양 5점을 선정하여 석탑 판축에 사용된 토층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질성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석탑의 판 축에 사용된 모든 토층에서 인위적 첨가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변 지역의 토양과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 학적 특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륵사지 석탑의 지반은 특별한 정선과정 없이 주변 지역의 토양을 사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s constructed Baekje Period in the 7th century which is located in Iksan, Korea. This stone pagoda designated by National Treasure No. 11 is the only remaining pagoda. This pagoda has lost the original form in part and the whole stonework wase dismantled. Work for the restora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soil strata such as construct layer of the temple site, foundation layer of the pagoda basement, and construct layer of the stylobate by stratum to interpretation the skill of rammed earth and making techniques. The of phys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amples were identified. Five pieces of soil in and around the Mireuksaji temple site was selected for the comparative study to interpretate the mutual homogeneity among soil stratum. As a result, artificial addition has not been identified in all soil samples using rammed earth. The soils used for the basement of the stone pagoda (construct layer of the temple site, foundation layer of the pagoda basement, construct layer of the stylobate) were confirmed to be the same origin as soil in and around Mireuksaji temple site.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asement of th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soils in and around the Mireuksaji temple site without work as careful selection.

1. 서 론

2. 시료선정 및 연구방법

3. 결과 및 해석

4. 고 찰

5.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