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s to Activat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of National Gugak Center -Focused o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and Gugak Sound, Creation and Education-

  • 96
127853.jpg

국립국악원에 악기연구소가 개소된 것은 2006년으로 설립 당시 악기연구소의 주요 목적은 악기연구 및 개발에 있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일찍이 1965년부터 악기개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로 국악기 개량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악기개량 사업에서 한 단계 나아가 1989년부터 악기연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본격적인 연구사업이 실시되었다. 악기 음향연구, 음고측정 프로그램 개발, 음향 특성과 방사패턴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2004년 창작악단의 출범은 안정적인 기반에서 체계적인 악기연구를 위한 전문연구소의 필요성을 더하게 되었다. 국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현대인의 미감에 맞는 악기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국악 대중화 실현을 위한 악기 보급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악기연구소 설립의 목적이 되었다. 2006년 악기연구소가 출범하여 악기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지 어느덧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국립기관으로서 악기연구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국악원의 비전과 목표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의 창조적 계승과 미래전략 수립에 악기연구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 본고는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악기연구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그간 추진해온 사업 성과와 그 이면의 한계를 진단하고,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에 대하여 악기연구, 음향연구 창작,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으로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악기연구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소 기능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 조직의 확대와 전문연구원 확충이 시급하다. 또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대한 실천전략이 구체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으로 국악원의 사회적 역할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교육용 국악기, 국악교구 개발을 강조하고 싶다.

National Gugak Center launched a project to improve musical instruments in 1965 and the improvement of Gugak instruments was continued until 1989. Since then, efforts had been made to study the sound of instruments, to develop a program for measuring the pitch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sound and radiation patterns till 2005. As National Gugak Center established a special orchestra for creative music in 2004, peop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professional institute to systematically study musical instruments. As a result,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was built in National Gugak Center in 2006. It already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launched to prepare the basis for new development in the studying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a state-funded research center and from such an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has inherited the historicity of Akgidogam created during the era of Great King Sejong when the independent culture of Korean people was blooming and Akgijoseongcheo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era. This paper proposes development plans to activate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focusing on a study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ugak sound, creation and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results of projects that the center had pursued and their limitation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the center.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center, first of all, should strengthen its functionsin order to enhance i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is urgent for the center to expand i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part of National Gugak Center s social roles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this, gugak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relate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practical strategies for mid-term development plans should be formed specifically and organically. It is time to deeply think about how the center will cope with the creative inheritance of gugak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strategies which have always been emphasized regarding the vision and goals of National Gugak Center.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think about its role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gugak.

Ⅰ. 머리말

Ⅱ. 악기연구소의 주요 성과와 한계

Ⅲ.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Ⅳ. 맺는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