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득량만 북동 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범위의 예측

Diffusion distribution of pollutants attendant at the northeast area in the Deukryang bay

  • 25
커버이미지 없음

해상 낚시공원의 조성에 따른 오염 물질의 확산 범위를 예측하고 이 결과를 적지 선정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득량만 북측의 연구 해역을 대상으로 2차원 해수 유동 모델 및 오염 물질 확산 모델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 연구 해역 주위의 최대 유속은 동방파제 부근에서 대조기 창조 시 약 30cm/s 정도로 나타났고 만 전체적으로 볼 때 유속은 만 입구의 수로 부근에서 유속 값이 크고 만내로 갈수록 유속이 느려지며, 수심이 상대적으로 깊은 득량도의 동쪽이 서쪽보다 유속이 다소 빠르게 나타나는 분포를 보였다. 확산 모델의 결과 연구 해역에서의 오염 물질의 입자 이동 거리는 크지 않았고 오염 물질의 농도 또한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낚시 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농도가 조석류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제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수치 실험에서 고려한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발생원으로부터 빠른 속도로 침강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 물질이 확산될 경우 최대의 확산 범위로 볼 수 있으므로 실제 낚시 활동에 기인하는 범위역은 그리 넓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A random-walk Lagrangian particle-tracking model is applied to study horizontal mixing processes and pollutants transport by fishing activity in the northern part of Deukryang Bay. A particle-tracking model is incorporated within the two-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POM(Princeton Ocean Model), which is run under realistic diurnal and semi-diurnal tidal forcing. The accuracy of hydrodynamic predictions in the study area is demonstrated by comparison with four current stations. As a result, the depth average current speed in near channel of entry to the Bay was stronger than that of inner area of the Bay. The current speed was approximately 20cm s-1 in the study area where i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at the flood current of the spring tide. Three cases of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and dispersion areas are analyzed for the study area.

Abstract

서론

수치 모델

결과 및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