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NOAA AVHRR 및 Landsat ETM+를 이용한 광양만 표층수온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NOAA AVHRR and Landsat ETM+ in Gwangyang Bay

  • 42
커버이미지 없음

광양만 SST의 계절별 분포특성을 NOAA AVHRR(Band 12, 15, 16), Landsat ETM+(Band 6) 및 ASTER(Band 13)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NOAA 영상에서 나타나듯이 광양만 입구인 여수해만에서는 쿠로시오해류의 지류인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광양만내에는 대마난류보다 저온인 남해안 연안수가 연중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NOAA AVHRR의 분광해상도에 따라 국지적인 만내의 SST 분포특성은 파악할 수 없었다. Landsat ETM+영상에서 SST의 분포를 살펴보면, 만 전체의 SST는 계절적 영향에 의한 변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만 북쪽에서 년 중 난수역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하동화력에서 배출하고 있는 온배수의 영향이며, 타 지역의 SST 보다 약 5~10℃ 높게 나타나는 것을 SST 모니터링 및 위성영상 분석에 의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동화력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에 의해 형성된 난수역은 조류의 영향으로 남쪽으로 확산되어짐을 보였으며, 하계에는 계절의 영향에 의해 비교적 난수역의 영향범위가 작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온이 낮은 동계에 더 넓어지는 것을 보였으며, 조류에 의해 수괴가 여수해만을 통해 외해로 유출되어짐을 보였다. 또한, 만의 서쪽은 수심이 상당히 낮은 지역으로 SST의 변화가 외해수의 유ㆍ출입양이 많은 만의 중앙 보다 계절적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만내로 유입되는 섬진강의 담수는 계절의 영향에 의해 동계에는 외해수보다 수온이 낮고, 하계에는 수온이 높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광양만의 SST 분포특성은 만내의 각 지역별 수온차가 계절적ㆍ인위적인 영향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 연중 주된 SST의 변동은 계절적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eomj in River and Hadong Power Station on the south coast of Korea discharges fresh and warm water affecting coastal ecology, respectively.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plume discharges of fresh and warm water are reported from a time series of real-time monitoring and thermal infrared data from Landsat ETM+ during one year(2003-2004). These data demonstrated the general pattern and expansion of the plume discharges using the image analysis of NOAA AVHRR and Landsat ETM+ in Gwangyang Bay. As a results, warm region was formed at three parts in Gwangyang Bay.

Abstract

서론

자료 및 조사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