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어, Konosirus punctatus 치어의 적정 활어수송조건(수온, 밀도)
Optimal condition (Water Temperature and Fish Density) for Transportation of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Juvenile
-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 제20권
-
2012.1265 - 73 (9 pages)
- 66
평균체장 2.7±0.41㎝ (평균체중 0.13±0.03g)의 전어치어를 사용하여, 기존의 사육수(High temperature, HT, 19.5℃)와 얼음을 이용하여 수온을 낮춘 저수온구(Low temperature, LT, 14.5℃)로 낮춘 두 종류의 운반용수에 운반밀도를 ton당 5만, 10만, 20만의 비가 되도록 20ℓ의 운반용수에 약 1000(저밀도), 2000(중간밀도), 4000마리(고밀도)를 2반복 수용하였다. 고흥에 위치한 종묘 생산장에서 차량으로 2시간 거리인 여수대학교 증양식 연구센터까지 수송하였다. 수송 전과 후의 수질변화를 보기위해 환경변화 요인인 pH, DO, 부유물질(SS)과 영양염인아질산성질소(NO2-N), 질산성질소(NO3-N), 암모니아성 질소(NH4-N), 인산염인(PO4-P), 규산규소(SiO2)을 조사하였으며 수송 후 전어치어의 폐사율을 조사하고 그 값을 기준으로 두어 각기 수질변화 요소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수질변화요소들은 수온과 염분을 달리 둔 실험구에서 모두 규칙적인 경향을 보였다. 환경변화요소의 경우에, pH와 DO는 수온과 염분 모두 반비례관계에 있었으며 부유물질은 비례관계에 있었다. 영양염의 경우에는, NH4-N과 PO4-P 는 비례, NO3-N은 반비례 경향을 보였으며, NO2-N은 중간밀도, 저밀도에서 각각 가장 높은 그리고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부유물질의 경우에는 사육수보다는 수송 후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수온 및 밀도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송 후 사망률은 고온, 고밀도 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전어를 수송함에 있어서 고수온구보다는 저수온구가 운반중의 수질환경변화, 수중 영양염 변화, 생존율, 비늘과 분에 의한 부유물질의 변화량에 적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제적인 수용밀도에 있어서도, ton당 10만 마리의 수용밀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juvenile (body size 2.7±0.41㎝, body weight 0.13±0.03g) was used in this study, in two different temperatures (14.5℃, Low Temperature and 19.5℃, High Temperature) and three different admission densities (50, 100, 200 thound individuals/ ton) with two replication each. To observe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before and after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change pH, DO, Suspended Soilds (SS) and nutrient change (NO2-N, NO3-N, NH4-N, PO4-P, SiO2) were investigated, and observed the mortality of K. puntatus juvenile, as the standard to compare the variables,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factors were analysed in comparison. All the water quality factors showed as regular relationship in the group with different water temperature and admission density.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both pH and DO was on negative relation and suspended soilds was on positive 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and admission density. In the case of nutrients, NH4-N and PO4-P was on positive and NO3-N showed negative relation. NO2-N show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value in midium and low admission density,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with water temperature. SiO2 showed increasing tendency with water temperature and admission density to some extent in after transportation in comparison to before transportation. Mortality rate after transportation was of higher trend in high water temperature and high admission density. Economic performance of individual juvenile showed as the lowest in medium admission density and low water temperature. Thus, in transportation of juvenile Gizzard shad, K. punctatus, low water temperature than high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in changes of water quality, nutrients, survival rate, and suspended soilds, and in economic performance for admission density, 100 thound individuals per ton of water for transportation is esteemed as the best.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