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시마로부터 추출한 황산화다당이 흰쥐의 체중, 부고환 지방축적 및 혈장 지질 저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lfated Oligosaccharide from Sea Tangle on Body Weight, Epididymal Fat Accumulation and Plasma Lipids Lowering Activity in Rats

  • 119
135385.jpg

다시마의 효소분해물을 분획하여 2개(LSF-1, LSF-2)의 정제 황산화 다당을 획득하였다. 황산화 다당을 급이한 군에서 체중 증가량은 유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식이효율에서는 황산화 다당 처리군인 LSF-1과 2가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장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하지는 않았다. HDLC의 함량은 처리군이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처리군인 LSF-2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처리군인 LSF-2의 LDLC 함량은 대조군보다 13.21%정도 유의성 있게 낮았다. 동맥경화 지수(AI)는 LSF-2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간내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은 LSF-2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LSF-1 처리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SF-2 처리군이 대조군 대비하여 총지질은 29.78%, 총콜레스테롤은 34.28% 및 중성지방은 36.84%로서 유의적으로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황산화 다당의 섭취는 혈액내 HDLC을 상승시키고 LDLC은 감소시키며, 간내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춤으로써 체내 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바가 크며, 체중에도 영향을 미쳐 심혈관계 질환 및 비만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lfated oligosaccharide fractions (LSF-1, LSF-2)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nzymatic hydrolysate on body weight, epididymal fat accumulation and plasma lipids lowering activity in rats. After four weeks diet feeding, food efficiency rate was tended to be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s of sulfated oligosaccharid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Epididymal fat accumulation weigh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all groups. In experimental group of sulfated oligosaccharide fractions (LSF-2),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 of plasma lipid significantly decreased 13.2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the value of atherogenic index (AI) significantly decreased 56.9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tents of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liver of that group (LSF-2) were tended to be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d then those in liver of that group (LSF-2) significantly decreased 29.78%, 34.28%, 36.84% compared with control group, respectively.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