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751.jpg
KCI등재 학술저널

土壤汚染에 대한 淨化責任과 公法上 權利救濟手段- 독일 연방토양보전법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겸하여 -

Responsibility for Purifying Soil Pollution and Remedies in Public Law - Focused on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of the Federal Land Conservation Act of Germany -

  • 62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오늘날 토양오염의 피해는 지속적이고 회복이 어렵다는 점에서 점차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토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토양오염에 있어서 정화책임이 논란이 되고 있다. 종래 헌법재판소는 오염원인자조항을 무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고 보았고, 이러한 결정으로 정화책임의 기피현상이 우려되는 점도 있다. 독일 에서는 행위책임뿐만 상태책임에 대해서도 정화명령을 내리고 있다. 최근 대법원은 토양오 염을 야기하고 오염된 토지를 유통시킨 경우에 직접적인 거래관계가 없는 종전 토지소유 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토양환경보전법은 독일의 연방토양 보전법에 비해 규율대상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토양오염의 예방 및 제거를 위해서는 그 규율대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토양오염의 조사도 정화명과 연결해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토양오염의 조사도 중요하지만 어떠한 경우에 행정기관이 토양오염을 조사하고 개입해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특히 행정기관의 개입이 재량사항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구체적인 요건을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율 대상이 구체적일수록 개입의 요건이 분명해 질 수 있다. 오염원인자의 무과실책임에 관한 조항은 매우 모호하며, 무과실의 의미가 부각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토양오염에 대한 공법적 권리구제수단으로는 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이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수한 공권으로서 행정개입청구권이 고려될 수 있다.

Today, damage to soil pollution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ocial problem in that it is persistent and difficult to recover, and the importance of soil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is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purification is important in Soil pollution. Conventionally, the Constitutional Court found that the pollutant clause could not be applied indefinitely. There is also a concern that due to this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eople can avoid the responsibility of purification. In Germany, it also issues a purification order for liability of behavior as well as liability of state.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the liability of illegal acts against former landowners who do not have a direct business relationship when causing soil pollution and circulating contaminated land. The Korean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regulates discipline subjects comprehensively compared to the Federal Land Conservation Act of Germany. In order to prevent and eliminate soil pollution, it is effective to specify the object of discipline more specifically. It is also desirable to specify the survey of soil contamin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urification order. Investigation of general soil contamination is also important, but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soil contamination should be investigated and intervene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specify specific intervention requirements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agency discretion. The more specific the discipline object is defined,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judgment of intervention will become clear. The provisions on liability without fault of polluter are very vague and should be amended so that the meaning of no-fault can be highlighted. As a remedy for civil and legal rights in public law, tort claims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ich may be a matter of liability of states for omission or nonperformance. In such cases, the claim for administrative intervention may be considered as a special right.

Ⅰ. 土壤汚染의 懸案과 爭點

Ⅱ. 獨逸 聯邦土壤保全法의 特徵 및 規律對象

Ⅲ. 土壤汚染의 調査 및 淨化命令

Ⅳ. 土壤汚染에 대한 淨化責任

Ⅴ. 土壤汚染에 대한 公法上 權利救濟手段

Ⅵ. 改善課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