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박창식 필사 『잡집』 해제 및 분석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Jap-jip written by Park Chang Sik

  • 58
135825.jpg

본고는 박창식 필사『잡집』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잡집 은 속표지의 ‘丹主 朴 昌植’ 표기로 보아서 박창식이 필사하고 편찬했 다고 추정된다. 또한 이『잡집』은 박창식이 대성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교들의 교과서들에 관심을 두면서, 필사되어 편찬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잡집』은 &#65378;음악의 해제&#65379;에서 문답식의 대화법으로 음 악 이론을 교육시키는 내용을 갖추며, 교과서적 기능도 갖추고 있었다. 이『잡집』은 여러 창가들을 담고 있으며, 그 중에는 대성학교의 교가인 <행보 가>도 담겨있다. 잡집 은 <행보 가>, <군인가>, <권학가>, <전진가> 등을 통해서 군대식 교육과 계몽주의 교육을 함께 함양시키고자 했다. 한편 이 『잡집』은 영토의식을 고취시키는 <대한혼>, 충군의식을 고취시키는 <건원절경축가>도 담고 있다. 이 『잡집』에 실린 5개의 <애국가>들을 보면 충군의식이 영토의식보다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잡집』이 충군의식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실적 한계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nalyzed Park Chang Sik’s Jap-jip. Jap-jip had the contents to educate the music theory by the dialogue, and also had function as the textbook. By several songs, Jap-jip tried to cultivate military education and enlightenment education together. Jap-jip contains “Korean soul” to encourage territorial consciousness and “Gunwonjulgyungchookga” to promote a sense of loyalism. The five national anthems in this Jap-jip show that the loyalism is superior to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1. 서론

2.『잡집』 해제

1) 박창식 소개

2) 『잡집』소개 및 구성

3) 『잡집』의 교과서적 기능

3.『잡집』에 실린 창가 노랫말 분석

1) 계몽주의 지향

2) 영토의식과 충군의식의 공존

3) 충군의식의 우위와 그 이유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