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구양수의 <육일거사전(六一居士傳)>의 수용 양상에 대한 소고(小考)

The Investigation into the Ouyang Xiu’s Acceptance Pattern of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Based on Gi( 記 ) of Dang( 堂 ), Heon( 軒 ) and Jae( 齋 ) in the Late Joseon Period

  • 126
135825.jpg

본고에서는 구양수의 <육일거사전(六一居士傳)>을 변용하여 창작한 집에 대한 기(記)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자아 또는 개인을 나타내는 양상의 한 단면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양수의 <육일거사전>은 구양수가 말년에 관직에서 물러난 이후의 삶을 계획하며 지은 자전이다. <육일거사전>을 변용하여 집에 대한 기(記)를 쓴 경우, 자전(自傳)에 집이라는 공간성을 부여하고 그 공간에 있는 물(物)을 통해 자아 또는 개인의 정체성을 규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육일거사전>을 변용한 기를 분석하여 공간에 대한 기의 한 양상을 밝히고, 이러한 현상이 조선 후기에 나타난 이유를 살펴보았다. 구양수의 <육일거사전>을 변용하여 창작된 기는 개인과 그 소유물이 공존하는 공간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은 조선 후기의 도시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시 도시문화 속에서의 문인들은 글이나 그림을 통해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고동서화를 설명하거나 묘사하였는데, 이 경우 그들의 취향을 드러내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육일거사전>을 변용한 기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애호하는 물(物)을 통해 자아 또는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개인을 서술하는 방식의 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pattern of the self or an individu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Gi of a house created by transforming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by Ouyang Xiu.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is the biography that Ouyang Xiu wrote when he planned his life after his retirement from office. When the Gi of a house was created by transforming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 the space of a house was given to the biography and the identity of the self or an individual was defined through things in the space. This Gi appeared after the 18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the Gi, created by transforming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to find out a pattern of Gi of space. By doing so, it investigated the reason why this phenomenon appeared in a specific period. The Gi created by transforming Ouyang Xiu’s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showed its identity of an individual through a space, where the individual and his possessions existed together. The reason why this phenomenon appeared in the late Jeseon Dynas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urban culture of that time. At that time literary men in the urban culture explained or described their antiquaria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y had through their writings and paintings, most of which were focused on exposing their taste. However, the Gi transforming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 going further, tried to show the identity of the self or an individual through things loved by the writer. That is to say, He set a space where the possessions were put like a house or a study, and exposed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through Gi of the space. The Gi transforming The Biography of the Six to One Layman was to define an individual through things, in which a way of expressing an individual along with the urban culture was shown through a genre of Gi.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a pattern of the way that describes an individu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1. 서론

2. 구양수의 <육일거사전(六一居士傳)>과 왕세정의 <구우재십가(九友齋十 歌)>

3.<육일거사전>의 변주를 통한 자아 · 개인 표상

1) <육일거사전> 속의 물(物)을 통해 정체성 드러내기

2) 물(物)에 대한 취(趣)를 통해 정체성 드러내기

4. 결론 : 조선 후기 도시문화와 물(物)을 통한 개인 표상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