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udato Si’
- 신학과사상학회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78
- 2017.01
- 90 - 125 (36 pages)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발표하신 회칙 「찬미받으소서」는 생태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한다. 곧 이 회칙에서는 우리와 자연의 관계뿐만 아니라, 우리 개인의 삶과 공동체 삶의 의미를 매우 총괄적이고 근원적인 방식으로 질문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통합 생태론’ 개념을 이 분석의 중심에 둠으로써, 발전을 다르게 정의할 것을 촉구한다. 그런데 보통 발전은 경제 성장과 연결된다. 따라서 발전을 다시 정의한다는 것은 경제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찾고, 또 경제가 우리 개인의 선택과 우리 사회의 계획들에서 차지하는 자리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는 것을 전제한다. 본고에서는 회칙 「찬미받으소서」가 ‘통합 생태론’ 개념에 근거해 제안하는 포괄적 전망에서부터 시작하여, 발전을 재정의하고 경제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여러 요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현대 세계의 복음 선포에 관한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과 현대 경제학 이론들과 실천들을 참조하면서, 이 요인들은 미시 경제와 거시 경제의 차원에서 활동의 단초들로 거듭날 것이다.
The encyclical Laudato Si’ published by the Pope Francis addresses the ecological question within an “integral” approach. The encyclical not only revolves around our relation to nature but also questions, in a more global and fundamental way, the meaning of our individual and collective life. The notion of an integral ecology, which the Pope places at the centre of his analysis, requires therefore, another way of defining progress. However, progress is naturally associated with economic growth. So, to redefine progress one has to find a new meaning for the economy and for the role it fulfills in our individual choices and in our society projects. Starting from the global perspective suggested by Laudato Si’ and founded on the notion of integral ecology, this article identifies elements which enable us to redefine progress. With the aid of the exhortation Evangelli Gaudium and of contemporary theories and practices in economics, these elements are translated into food for thought at the micro- and macroeconomic levels.
Introduction
1. Global Perspective: The Foundations of Integral Ecology
2. Economic Perspective: A New Definition of Progress
3. Conclusion: Calls for Action at the Micro- and Macro-Economic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