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Using the Dual Drainage Model

이중배수체계 모델을 이용한 도시침수해석의 실무적용 적절성에 관한 연구

  • 56
135834.jpg

환경부는 지난 침수피해규모를 파악하여 중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최근 적용하고 있다.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침수대응 하수도 시뮬레이션 수행절차에 따라 대책방안을 수립하였 다. 본 연구는 최근 연구가 진행된 침수재해 방지를 위한 이중배수체계에 관한 연구로 하수관로 계획및 정비방법을 효율적으로 실무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하여 연구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이중배수체계 모의를 위한 매개변수 추정을 효율적으로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선택하였으며, 모의에 적용된 강우연속사상에 대한 방법 또한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선택을 채택하였다. 환경부의 침수대응 하수도 시뮬레이션 수행절차에 따른 침수재해 방지를 위한 효율적인 하수관로 계획을 고려하고, 적용된 정비방법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다. 향후 이와 같은 침수피해 대상지 역에 대한 지속적인 해석과 관리에 의하여 단순 시뮬레이션에 의한 정비방안 대책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및 30년, 50년 빈도뿐만 아니라 그 이상에서도 재해에 방지할 수 있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has recently designated and managed key management areas of flood inu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ouble drainage system for flood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apply the system to actual sewer system planning and maintenance. We used the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or simulation of the double drainage system and applied the method for continuous rainfall for simulation. We considered the efficient sewerage system for flood disaster prevention in the flood damage area according to the sewage simulation procedur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xamined the maintenance method applied to the pla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to prevent disasters over 50 years, based on not only a simple simulation-based maintenance but also continuous analysis and management of flood-damaged area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침수해석 비교 평가 분석

Ⅴ. 효율적인 하수관로 정비방안

Ⅵ.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