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650.jpg
SCOPUS 학술저널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자기특성 연구

Mag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Cretaceous Rocks from the Buyeo and Hampyeong Basins

  • 3

경상분지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서부에 분 포하는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의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여분지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고지 자기 방향은 경사보정전의 방향(D/I=356.5o/61.5o, k=39.3 α95=7.4o)은 경사보정후의 방향(D/I=25.0o/60.6o, k=22.4, α95=9.9o)보다 더 집중됨으로 습곡 이후 재자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경사보정후의 방향의 정밀도(k)와 신뢰도(α95)가 경사보정 전의 값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통계학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값이며 경사보정 후의 극의 위치가 한반 도 백악기의 극의 위치와 유사한 점 때문에 부여분지의 재자화 여부의 결정은 유보하였다. 경사보정 전의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Lat./Long.=81.6oN/106.9oE (K=25.1, A95=9.3o)는 유라시아 제3기의 고지자기 극과 유사하며, 경사보정 후의 고 지자기극은 Lat./Long.=69.3°N/186.7°E (K=11.6, A95=14.0°)로 한반도 후기 백악기의 극과 유사하다. 함평분지 퇴적암 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경사보정 후의 방향(D/I=32.5°/55.4o, k=35.6, α95=8.7o)이 경사보정 전의 방향(D/I=18.3o/62.5o, k=14.1, α95=14.2o)보다 더 집중된다. 경사보정 후의 방향으로부터 계산된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Lat./Long.=63.9oN/ 202.7oE (K=21.3, A95=7.6o)로 한반도 후기 백악기의 고지자기 극(Lat./Long.=70.9oN/215.4oE, A95=5.3o)의 위치와 유사 하므로 암석의 생성 시기는 후기 백악기로 판단하였다. 한편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서는 한 개의 정자 화 방향과 두 개의 역자화 방향이 확인되었다. 이들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백악기 화산암 형성 당시 암석에 기록된 성분 으로써 당시 지구자기장의 상태를 기록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이중 정자화 방향을 함평분지 화산암의 대표 방향으로 채택하였다. 함평분지 화산암의 고지자기 극의 위치는 정자극의 경우는 Lat./Long.=70.2oN/199.5oE (K=18.1, A95=9.6o) 이며 역자극의 경우는 Lat./Long.=65.5oS/251.3oE (K=7.1, A95=20.7o)이다. 이중 정자극의 위치는 한반도의 후기 백악기 극의 위치와 통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함평분지 화산암의 형성 시기를 후기 백악기로 해석하였다.

A paleomagnetic investigation for the Cretaceous rocks in the Buyeo and Hampyeong Basins, located out of the Gyeongsang Basi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lucidate the paleomagnetic dire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formation of the basins. Typical stepwise thermal demagnetization and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s of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 (ChRMs). The mean direction of the sedimentary rocks from the Buyeo Basin after bedding correction (D/I=356.5o/61.5o, k=39.3 α95=7.4o), is more dispersed than that before bedding correction (D/I=356.5o/61.5o, k=39.3 α95=7.4o), which suggests that the rocks in the Buyeo Basin were remagnetized. However, the statistics and dispersion of the ChRM directions after bedding correction are still acceptable and the paleomagnetic pole position after tilt correction (Lat./Long.=69.3oN/186.7oE, K=11.6 A95=14.0o) is closer to that of the Late Cretaceous pole of the Korean Peninsula. More detailed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 nature of the remagnetization in the Buyeo Basin. On the other hand, the paleomagnetic pole before bedding correction (Lat./Long.=81.6oN/106.9oE, K=25.1 A95=9.3o) is positioned near the Paleogene pole of the Eurasian APWP. The mean ChRM direction of the sedimentary rocks from the Hampyeong Basin after bedding correction is D/ I=32.5o/55.4o (k=35.6, α95=8.7o). It is more clustered than that before bedding correction (D/I=18.3o/62.5o, k=14.1, α95=14.2o), indicating that the ChRM was acquired before tilting of the strata. The paleomagnetic pole position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Hampyeong Basin, averaged out of site pole positions calculated from the tilt-corrected ChRMs, is Lat./Long.=63.9oN/202.7oE (K=21.3, A95=7.6o), similar to the Late Cretaceous paleomagnetic pole of the Korean Peninsula (Lat./Long.=70.9oN/215.4oE, A95=5.3o), suggesting that the Hampyeong Basin has been stable since the Late Cretaceous period. One normal and two reversed ChRM directions are revealed through the measurements of the volcanic rocks from the Hampyeong Basin. Although these normal and reversed directions are not exactly antipodal, it is interpreted that the normal direction is the representative primary direction of the volcanic rocks of the Hampyeong Basin and the mixed polarity is the records of geomagnetic field a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volcanic rocks. Paleomagnetic poles are at Lat./Long.=70.2oN/199.5oE (K=18.1, A95=9.6o) for the normal direction, and Lat./Long.=65.5oS/251.3oE (K=7.1, A95=20.7o) for the reversed direction. Compared with the representative pole positions of the Cretaceous period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concluded that the age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Hampyeong Basin is of the Late Cretaceous.

1. 서 론

2. 지질개요

3.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