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시장효율성연구

Market Efficiency Test focusing on The Monday Effect in The Stock Market

  • 37
135850.jpg

본 연구는 최대 1990년에서 2006년까지 기간의 시장지수(KOSPI, KOSPI200, KOSDAQ, KOSDAQ50)와 시가총액규모별(대ㆍ중ㆍ소형주)지수를 대상으로 국내주식시장에 월요일효과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거래소시장의 경우는 분석기간 전반에 걸쳐 시장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KOSDAQ시장의 경우는 과거 6일장 시기에 나타나던 월요일효과가 5일장 시기에는 사라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츰 시장이 더 효율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월효과가 월요일효과에 미칠 영향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진정한 월요효과를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경우 강세장과 약세장의 경우 월요일 평균수익률의 뚜렷한 차이를 보지만, 약세장에서만 월요효과가 나타난다는 진정한 월요일효과와는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월요일효과 측면에서의 시장효율성과는 달리, 월요일 수익률이 랜덤하게 움직이지 않고 이전 주 시장 상황과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역사적 주가정보를 통해서는 시장을 예측할 수 없다는 약형효율성에 위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mpirically revisited Monday effect in Korean market applying market indices such as KOSPI, KOSPI200, KOSDAQ, KOSDAQ50 and size-based portfolios from 1990 to 2006. Our results show that KOSPI markets have been efficient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while KOSDAQ markets show different market efficiency depending on the period. In other words, KOSDAQ market became efficient after stock market trading mechanism changed from 6-day trading(Mon-Sat.) to 5-day trading(Mon.-Fri.) system. We also tested the so-called real Monday effect, arguing that the Monday effect appears only in a bearish market. Our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is real Monday effec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verage returns on Monday in both bullish and bearish markets. Through this research, apart from market efficiency in terms of Monday effect we rather found the stock market appears to violate weak-form market efficiency, which says that markets are not predictable by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stock prices and returns. This is because the returns on Mondays do not follow random walk and the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condition of the previous week.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내용 및 방법론

Ⅵ.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