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6072.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종단적 궤적과 설명 변인

A Study of Longitudinal Trajectories and the Variables Explaining Employed Mothers’ Maternal Parenting Stress

  • 230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종단적 궤적을 분석하고, 이같은 궤적을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려 하였다. 분석은 여성가족패널조사 3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참여한 40대 이하이면서 미취학자녀를 1명 이상 둔 취업모 34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취업모의 연령과 결혼 및 일 만족도, 배우자 출산휴가 이용여부와 자녀양육 비용 변인이 양육 스트레스의 초기값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취업모의 연령, 결혼만족도와 일만족도, 그리고 배우자 출산휴가 이용여부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 양육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 growth curve trajectory of employed mothers’ maternal perception of parenting stress and explaining variables using a third wave to fifth wave(2013-2015) of 342 employed Korean mothers who have preschoolers from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summary of this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employed mothers’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decreased from third wave years to third wave years. Second, employed mothers’ age, marital and work satisfaction, spouse paternal leave availability and child care costs at the point of first year were related to the intercept of the employed mother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employed mothers’ age, marital and work satisfaction, spouse paternal leave availabi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lope of employed mothers’ maternal parenting stre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