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The Effect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on Improvement of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이 대학생의 자아개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189
136073.jpg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자아개념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개발하여 이 수업이 대학생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사전, 사후검사로 자아개념 검사(이경화, 고진영, 2015)를 실시하여, 온라인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수업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온라인 자기주도 학습을 참여한 대학생들의 자아개념 향상도가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면, 향후 대학에서 대학생 개인의 정의적 역량(자기효능감, 자아개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2015년 2학기에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에 참여한 44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실험 설계를 하였고, 수업 전과 후에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대응표본 t-test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은 수업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의 효과는 학년과 전공과는 무관하게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에게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된 자기주도학습 수업은 대학 생들에게 자아개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수업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앞으로 대학생들의 자아개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모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by developing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Thus, before and after the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this study measured self-concept(Lee Kyunghwa, Ko JinYoung, 2015) to prove the effect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 s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the experiment(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was conducted by a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5, and the participants were 442 university students. Results of pre-post test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paired-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lass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their grace and major. But the differences in grade and major were not significant. Also, this study c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on the way of developing and the content of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all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grade and major to improve self-concept and developing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curriculum which can improve the affectiv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futur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