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nvergence Instruction in High School on Improvement of Career Core Competences, Core Competences, and Creative Personality
고등학교에서의 융합수업이 진로 핵심역량, 교과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 제7권 2호
-
2017.0921 - 39 (19 pages)
- 118

본 연구에서는 융합수업이 고등학생의 진로 및 교과 핵심역량과 창의적 성격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단일집단 실험설계로, S 국제고등학교 1학년 5개 반 110명을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실험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창의적 성격검사와 진로 및 교과 핵심역량평가(이경화, 2014)를 실시하였다. 교과 핵심역량평가는 동형검사(A, B)를 사용하였고, 실험기간은 5주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실험설계로 진행되었으므 로, 실험 전, 후에 실시된 검사결과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test를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융합수업은 고등학생들의 진로 핵심역량과 교과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p <.001), 창의적 성격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가 있음( p <.001)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 이 대학입시만이 아니라 미래에 진로 및 직업을 선택하여 활동할 경우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함양 시키는 일이 고교교육에서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융합수업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향후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비전을 찾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지도를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이나 사회관련 교과목 시간에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nvergence instruction on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nd 110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of S international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pre and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and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Lee, 2014) were conducted. The subjects core competencies were assessed using homo-typic tests (A, B) and the experimental period was 5 weeks. Because this study was a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of the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used to compare with the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vergence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and subject core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 p <.001) and improving the creative personality (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ed high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core competencies in the futur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and social related course time for career guidance to find their vision and future desig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