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이동하중의 축 수에 따른 단순교의 충격계수 및 응답계수 영향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Moving Load Axles on Peak Impact Factor and Response Factors of Simply Supported Bridges

  • 39
136401.jpg

본 연구에서는 지간 길이와 이동하중 축 수(1축과 3축)에 따른 단순교량의 충격계수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본 논문 저자에 의해 개발된 단순지지 교량의 1축 이동하중에 따른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휨강성 변화 전후의 변위 응답비를 나타내는 정적 및 동적 응답계수를 분석하기 위해 교량의 휨강성을 변화시켰다. 수치해석 결과, 충격계수는 지간이 약 50 m 이내일 경우 1축 하중 경우가 3축 하중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충격계수를 나타냈으나 지간이 길수록 충격계수는 유사하였다. 이에 반해 정적 및 동적 응답계수는 본 논문에서 이론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결과와 비교할 때 지간길이나 이동하중 축 수가 다를 지라도 1% 미만의 차이만 보였다.

The present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factor of simply supported bridges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span length and number of moving load axles (single axle and tri-axle).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impact response spectrum developed by the previous research for simply supported bridges considering single moving load. Also, the flexural rigidity variation is conside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ic and dynamic response factors which present the displacement ratio before and after flexural rigidity variation.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 impact factors obtained from the single moving load are higher than the case of the tri-axle moving loads when the span length is below 50m, while the impact factors become identical for longer span bridges. Compared to the results of static and dynamic response factors theoretically defined in this paper, the numerical results show less than only 1% difference, even though the span length and the number of moving load axles are varied.

Abstract

요지

1. 서론

2. 교량 주파수(진동수)를 이용한 교량 내하력 평가

3.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 및 최대 충격계수 유발속도

4. 3축 이동하중에 따른 충격계수 변화

5. 3축 이동하중에 따른 응답계수 변화

6.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