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Digital Radiography Chest PA 촬영 시 SID 감소에 따른 선량과 영상평가에 관한 연구

  • 171
커버이미지 없음

목 적 : X선을 이용한 chest radiography는 일반적으로 180cm의 SID에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촬영거리는 과거 analog(film/screen type)system에서 권고되었던 촬영거리를 Digital Radiography에서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최근까지도 촬영거리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동향이 환자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주목적이 되어서 선행된 다른 연구에서는 촬영거리를 증가시키는 논문만 존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는 Digital Radiography Chest PA에서 거리를 줄여서 각 위치에서의 선량과 영상의 질을 비교해보고 더 나아가 거리를 줄이는 경우 어떤 거리에서 촬영하기 가장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Lung/Chest Phantom (RS330)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기는 Listem XR ADR-M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환자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Unfors xi survey detector로 측정하였다. SID를 180cm에서 120cm까지 10cm 단위로 감소시켜가며 각각 5회씩 노출시키며 선량을 측정하였고, 영상의 질과 거리에 따른 확대율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SNR과 CNR과 심장 음영 비를 측정하였다. SNR과 CNR은 폐와 심장을 관심영역1 과 관심영역2로 설정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 를 사용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선량의 경우 180cm를 기준으로 했을 때, 160cm, 140cm, 120cm에서 각각 5%, 11%, 17%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통계적으로 160cm 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NR1의 경우 13%, 22%, 28%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SNR2의 경우 9%, 22%, 40%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CNR1은 13%, 22%, 21% 상승이 관찰되었으며, CNR2는 9%, 22%, 40%증가가 관찰되었다. SNR과 CNR 모두 거리가 감소할 때 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장음영비는 거리 감소에 따라 증가를 보였지만 180cm를 기준으로 했을 때 5% 미만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 SPSS18 를 사용하여 통계분석해본 결과 160cm까지 선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는 SNR과 CNR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되는 확대율은 5% 미만의 적은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Digital Chest Radiography를 촬영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SID를 160cm 까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