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Comparison between the SPIR and STIR MR Pulse Sequence of the Oil with Water Phantom
- 한국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방사선학회 2017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2017.1171 - 71 (1 pages)
- 16

자기공명영상은 인체 내 지방과 물성분의 공존으로 정확한 영상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지방의 고 신호는 화학적 이동 인공물을 형성한다. 화학적 이동 인공물은 물 분자와 지방 분자의 수소 원자핵들 간의 공명주파수 차이에 의해 발생하여 주로 영상정보의 왜곡으로 나타난다. 지방을 소거하게 되면 선별적인 신호 획득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지방을 소거하는 두 가지 기법(SPIR, STIR)을 비교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Water-oil phantom을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SNR 값이 SPIR 기법에서 물이 258.64, 지방은 11.40 으로 측정되었고, STIR 기법에서 물이 1,060.02, 지방은 27.82 로 측정되었다. 두 기법 모두 물보다 지방의 SNR 값이 더 작았으며 STIR 기법에서의 SNR 값이 물과 지방 모두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CNR 값은 SPIR 기법에서 247.24, STIR 기법에서 1,032.19 로 측정되었고, STIR 기법에서의 CNR 값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SPIR 기법에 비해 STIR 기법의 지방소거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지방소거기법으로서 유용성이 컸다. 이에 진단에서는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지방소거기법을 선택할 것이 사료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