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기업 경영의 사례와 한국기업의 시사점
Environment Friendly Company in Foreign Countries and Implications on Korean Companies
-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 사이버교육연구
- 지속가능성연구 제1권 제1호
-
2007.1221 - 39 (19 pages)
- 36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갖는 책임으로서 사회적 공헌측면에서 시작 되었지만 지금은 윤리경영, 환경 경영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외에 인권이나 노동 등과 같은 것 까지도 기업이 반드시 고려하고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UN Global Compact는 인권(Human Rights), 노동기준(Labor Standards), 환경 (Environment), 반부패(Anti-Corruption)의 10대 원칙 중 환경과 관련된 원칙은 환경 도전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지지, 환경에 대한 책인 증진에 솔선, 친환경적인 기술의 개발 및 보조금을 지원 등을 언급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많은 외국의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하에서 친환경경영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업의 이미지제고와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이 GE, 필립스, 토요타 등이다. 이들 기업은 그린마케팅(Green Marketing), 원자재 사용 및 사용 후 리사이클링 (Recycling), “End-of-pipe 기술의 개발과 지속적인 환경 모니터링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친환경 기업의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 had been a quite important management concepts in recent years. Many good leading companies are concern about the human right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ocial contribution. GE, Phillips and Toyota companies are best examples. They are thinking about the so called, life cycle thing. Therefore, form the raw material to the final waste treatment, products and process should b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At the same time green marketing strategy and good monitoring system is also important to implement 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
1. 서 론
2. 지속가능한 기업과 외국 기업의 사례
3. 친환경 경영을 위한 한국 기업의 시사점
4. 결론 및 요약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