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내외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유형 및 사례 분석

  • 618
136842.jpg

현재는 초기의 단순한 텍스트나 동영상 콘텐츠 위주의 초보적인 유형에서 벗어나 한 차원 더 발전한 다양한 형태의 이러닝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외 고등교육 이 러닝 콘텐츠 유형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이를 위하여 먼저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 분석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 이를 통해 세 가지 콘텐츠 유형 , 즉 콘텐츠 개발 및 정보제시방식에 근거한 콘텐츠 유형 ,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에 근거한 유형 , 혼합형 ( 콘텐츠 개발방식 및 교수학습방법의 두 가지 기준을 통합하여 유형을 제시하는 유형 ) 등으로 크게 그 범주가 정리되었다. 다음으로 세 번째 범주 유형이었던 ‘ 혼합형 ’, 즉 콘텐츠 개발 및 정보제시방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전략을 혼합하여 콘텐츠를 분류한 접근에 기반하여 다양한 개발 방식 및 교수학습방법에 의거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유형들을 정리 및 분류하고 핵심 특징을 제시하였다 . 각 유형들은 개념 , 목적 , 특징 , 대표적 형태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정리된 것이 1) 동영상 강의형 (VOD), 2) 멀티미디어 튜토리얼형, 3) e- 문제중심학습형 , 4) e- 스토리텔링형, 5) e- 시뮬레이션형 , 6) 게임기반학습형, 7) 스마트러 닝형이었다 .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의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 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첫째 , 분류된 기준과 제시된 사례들은 대학별 맞춤화된 유형 분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대학별로 콘텐츠를 정리하고 범주화하는 하나의 기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부족한 콘텐츠 유형을 어떻게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를 제공한다 . 둘째 , 가장 대중적이고 표준인 유형 중 하나인 동영상 강의형 콘텐츠의 정교화된 활용모형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첨단매체에 기반한 미래지향적인 콘텐츠 개발 방향 수립할 수 있다.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 분석 관련 선행연구 고찰

3. 이러닝 콘텐츠 유형 분류 기준별 주요 사례 분석

4.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