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유해의 mtDNA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Sanger 염기서열 분석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의 비교
Comparison of Sanger Sequencing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for mtDNA Sequencing of Old Human Skeletal Remains
- 한국과학수사학회
- 과학수사학회지
- 과학수사학 제7권 제3호
-
2013.09173 - 184 (12 pages)
- 299

본 연구에서 사용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의 비교시험은 Applied Biosystems社의 3130 xl과 Roche社의 GS junior (454 GS FLX) 염기서열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60년 이상 오래된 유해 100구의 mt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GS junior가 95%에 해당하는 mtDNA 고변이 좌위에서 더 높은 민감도와 식별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염기서열 분석 결과의 base-calling 오류는 ‘random sampling’ 오류를 감안하더라도 높은 coverage 및 depth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GS junior는 상대적으로 많은 리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염기 변이 분석 결과에서 3130 xl에 비해 6% 더 많은 염기 변이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V2의 309와 315에서 C insertion 으로 6 량체 이상 늘어나게 되면 poly C-stretch 현상이 발생하여 분석 성공률이 낮아진다. GS junior에서는 309와 315의 분석 성공률이 3130 xl에 비해 25%와 70%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To comparison these systems for NGS platform, we analyzed mtDNA sequence generated by the Applied Biosystems 3130 xl and Roche GS junior (454 GS FLX) technologies for the over 60 years skeletal remains of 100 individuals. Consequently, a comparison of the base calls of overlapping ABI 3130 xl Sangersequence generated for the same samples showed that the NGS platforms all have high sensitivity, identifying 95% of mtDNA hypervariable region. At high coverage, depth base-calling error are systematic, resulting from local sequence contexts; as the coverage is lowered additional random sampling errors in base-calling occur. GS junior because you can gain a lot of re from a single variant analysis showed that 6% more as compared to the 3130 xl variant is found. However, the C insertion occurs of HV2 in the 309 and 315, increases more than 6 mer poly C-stretch phenomenon occurs,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analyze. Analysis of GS junior analyze the success rate in the 309 and 315 is shown as 25% and 70% compared to the 3130 xl relatively low.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