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6976.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로의 회귀’와 동독에 대한 기억

The Debate over the Reconstruction of the Berlin Palace: Divided and Lost Memories

  • 311

독일 통일 후 베를린은 분단과 통독의 상징이자 새로운 독일수도로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부응하듯이 베를린의 도시 이미지도 새롭게 단장했다. 특히 ‘과거로의 회귀’라는 구호에서 드러나듯이, 이것은 독일 과거의 정체성을 다시 정립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건물이 해체되고 새로 들어섰지만, 구 공화국전당의 건물처럼 논란에 휩싸인 것 도 드물었다. 베를린 중심부에 자리잡은 베를린궁전은 과거 프로이센과 독일제국의 영광을 함께 한 유서 깊은 유적이었지만, 동독 시기에 해체되었다. 동독 정부는 프로이센 과거의 결별하고 새로운 동독의 정체성을 강조하고자 공화국전당을 신축했다. 공화국전당은 동독의 위상을 과시하면서도 정치적 기능뿐만 아니라 동독시민들의 문화적 기능을 위해 건립되었다. 게다가 통일과 정의 중요한 격변기에 중요한 결정이 이루어졌던 곳으로 나중에 ‘기억의 장소’로서 손색이 없었다. 그렇지만 통일 직후 석면 문제로 폐쇄된 공화국전당은 베를린궁전을 복원하자는 주장에 밀려서 결국 철거되었고 지금은 베를린궁전의 일부 모습이 다시 지어지고 있다. 1990년대 치러진 논쟁의 구도는 기본적으로 두 역사의 충돌이었다. 한쪽에는 근대 프로이센과 독일제국의 역사가 존재했고, 다른 쪽에는 동독의 역사가 있었다. 베를린궁전의 복원을 둘러싼 논쟁은 베를린에 존재하는 동독인의 기억을 지우고 서독의 도시 이미지를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이는 한편으로 베를린 역사의 다층성을 부인한 것이고, 다른분단의 역사라는 지정학적 특수성을 지우는 행위였다. 과거 공화국전당에 대한 일상적 경험과 이제 막 형성되던 동독인의 집단적 기억을 해체시키고 새로운 정체성이 등장한 것이다.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Berlin, which became its new capital. The Berlin Palace (Berlin Schloss), which was located on the Museum Island at Schlossplatz as an iconic building of history and architecture, was the subject of heated public debate. The Palace, which was built in the 15the century and bore features of the Baroque style in the next years, served as a central residence for German rulers in the following few centuries. It was heavily damaged in the Second World War and demolished in 1950 by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to establish a new image of communist country. From 1973 to 1976 the Palace of the Republic (Palast der Republik) came to existence at the site. In the 1990s the long lasted debate commenced as to whether the modern building, being contaminated with asbestos, should be demolished and its former structure reconstructed. This fierce debate shows that memories of East German were not yet united and personal memories should not be accepted and respected. However, it should be also stress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of the Republic ignored the personal memories to build the collective memory intentionally. Many personal memories were divided and lost by the politics of memory.

1. 사라지는 ‘기억의 장소’

2. 통일 후 베를린의 정체성: ‘역사로의 회귀’

3. 공화국전당에 대한 기억

4. ‘공공 역사’를 위해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