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사설시조의 ‘俗됨’ 양상과 그 의미

The aspect of ‘Secularity’ in SaSeolSiJo and the meaning

  • 235
137023.jpg

본고는 종교적인 시각에서 사설시조의 특성을 살폈다. 그 결과 사설시조의 특성이 ‘통속성’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토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사설시조 속 자연은 공간적으로 성스러운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속됨의 속성을 지녔다고 생각했다. 일상적이고 때로는 유흥이 펼쳐지는 공간이다. 더 이상 우주의 이치, 이법이 자리하고 있지 않았다. 시간에 대한 인식도 마찬가지로 속되었다. 영원성보다는 찰나성의 경향을 보인다. 불가항력적인 인생의 유한성을 사대부 시조 에서는 영원성으로 전환하여 인식하였는데, 사설시조에서는 있는 그대로 수용하 고, 유흥과 쾌락의 길로 나아갔다. 조선은 이념 · 집단 · 이성이 동궤를 이루는 종교의 시대였다. 이러한 면에서 사설시조에 보이는 공간과 시간 인식은 대단히 반종교 반이념적이어서 반조선적이 다. 사설시조에 대한 기존 논의는 ‘기존 질서에 대한 반항과 비판’이라는 이념적인 측면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찾았다. 본고는 탈이념적이라는 데에서 근거를 찾은 셈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in religious view.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are in the Popular character .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SaSeolSiJo was far from the sacred one. I thought it was the attribute of the Popularity. It is a daily and fun space. The laws of space and legislation were not in place. The perception of time was popular. There is a tendency toward brevity rather than permanence. SiJo pursued eternity in a finite life. The private sijo was accepted as it is, and went on the path of pleasure. Joseon was an age of religion in which ideology, group, and reason were tied together. In this respect, the space and time perception in SaSeolSiJo are very anti–religion, anti-ideological and anti-Joseon. The existing discussion on SaSeolSiJo fou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in the ideological aspect of rebellion and criticism against the existing order . This paper is based on de-ideology.

1. 들어가면서

2. 사설시조에서 자연 공간의 의미–일상적 공간

3. 사설시조에서 시간의 의미–역사적 현재(불가역성)

4. 사설시조의 ‘속됨’ 양상이 갖는 의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