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다’는 ‘가지다’의 준말인가?
Is ‘갖다’ abbreviation for ‘가지다’?
- 형태론
- 형태론
- 형태론 19권 2호
-
2017.11149 - 168 (20 pages)
- 552

‘가지다’의 준말이 ‘갖다’라고 하는 한글맞춤법의 규정과 국어 사전에서의 풀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가지다’는 ‘갖다’에 접사 ‘-이-’가 붙은 파생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준말’과 관련된 앞선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준말’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새로운 준말의 개념에 ‘갖다’가 들어갈 수 없음도 보였다. 아울러 중세국어에서 ‘다’, ‘지다’, ‘초다’는 체계적인 파생관계를 이루는 낱말들로 ‘다’는 본말이며, 여기에서 파생된 낱말이 ‘지다, 초다’이기에 이들 낱말에 대응되는 현대국어의 ‘갖다, 가지다, 갖추다’도 본말과 파생어의 관계이지 준말과 본말의 관계가 아님을 말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tried to clarify that ‘가지다’ is a derivative word with - i - affixed to ‘갖다’. The reasons for this claim were the use of ‘다’, ‘지다’ and ‘초다’ in medieval languages. In the Middle Ages, the words ‘다’, ‘지다’, and ‘초다’ are the words that form a systematic derivation relation, and the words derived from ‘다’ is ‘지다, 초다’. And ‘다, 지다, 초다’ is equipped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갖다, 가지다, 갖추다’. Thus, the word ‘갖다’ is the main word, and the word derived from it is ‘가지다, 갖추다’, showing that the word ‘가지다’ can not be ‘갖다’. We also discussed how the meanings of ‘갖다’, ‘가지다’, ‘갖추다’ are distributed to each other with examples of medieval and modern languages. In addition, I tried to presume the cause of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word ‘갖다’ is an abbreviation for ‘가지다’.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가지다’의 준말이 ‘갖다’라고 하는 한글맞춤법의 규정
3. 준말의 개념은 무엇인가
4. ‘갖다’, ‘가지다’, ‘갖추다’의 형태와 의미 분석
5. 나오며
참고논저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