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PTED가 범죄 두려움에 대하여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통하여 효과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각 연구들이 제시하고 있는 서로 다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CPTED전략의 실행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과크기 분석을 통하여 CPTED의 전략이나 요소들 가운데에서 범죄 피해와 범죄두려움 감소라는 목적 변수에 대하여 하나라도 유의한 효과 크기를 보이는 변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감시’, ‘유지관리’, ‘사회적 유대’, ‘활동 지원’, ‘영역성’, ‘활용성’이었으며, 부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물리적 무질서’,‘사회적 무질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시’와 ‘유지관리’,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는 두 번 이상 유의한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번도 유의한 효과 크기를 보이지 않는 것은 ‘접근 통제’, ‘지역 역량’, ‘지역 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CPTED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전략을 중심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a more efficient CPTED strategy by measuring the Effect Size of the CPTED through meta-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the fear of cr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nalysis, among the strategies and factors of CPTED,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objective variable of crime damage and fear of crime decrease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surveillance’, ‘maintenance’, ‘Social ties’, ‘activity support’, ‘territories’, ‘usability’, and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disorder’ as negative effects. Especially, ‘surveillance’ and ‘maintenance’,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showed significant Effect Sizes more than once. It was found that ‘access control’, ‘local competence’, ‘local culture’ were the least effective size.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