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7477.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고령자의 건강 악화가 조기은퇴에 미치는 영향 연구-근로형태 별 비례위험모형 분석

Study on Health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of Middle-aged and Elderly Workers in Korea: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by Employment Type

  • 554

한국의 중․고령자들이 60세 이전에 조기은퇴하는 현상의 주된 이유로 건강문제가 거론된다. 일부 선행연구에서는 은퇴 이후 시점에서의 건강과 조기은퇴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역인과관계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근로 당시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건강문제와 조기은퇴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 인해 건강문제의 영향력이 과대평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근로 시기와 비교해 건강상태의 악화가 조기은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화패널 1차 자료에서 조사된 45~52세 중․고령 근로자 1,049명을 대상으로 고령화패널 5차 자료까지의 추적연구를 통해 건강의 악화가 조기은퇴에 미치는 영향을 콕스의 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은퇴 이전 시점에서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의 증가는 자영업자의 은퇴 위험을, 주관적 건강상태의 악화는 임금근로자의 은퇴 위험을 유 의하게 높이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역인과관계 문제와 편향 문제를 없애거나 줄인 상황에서도 건강악화는 여전히 조기은퇴의 주된 원인임을 보여준다.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 간 은퇴원인의 차이는, 자영업자 근로신축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uce the reverse-causality and overestimate bias of analysis on how health affected middle-aged and elderly worker’s early retirement.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panel data, I researched 1,049 people who were 45-52 years old in 2006. To eliminate the reverse-causality problem, I used the health data which is surveyed before retirement. To reduce bias, I controlled the health status when retirees work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sened health still affects the hazard of early retirement, with reducing the endogeneity problem. Second, chronic illness is one of the strong predictors of early retirement to self-employed, and self-reported bad health is the main health predictor of wage workers. These results give two implications; first, the impact magnitude of the health indicator depends on employment type. Each employment type has different flexibility of working hours. It seems that the flexibility can reduce early retirement hazard with health problems. Self-employed, who has more flexibility of working hours can work until they have to stop working due to the serious health problem or doctor’s advice. Second, to promote middle-aged and elderly workers to keep working, the long-term health policy which decreases chronic illness is nee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