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동바리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립방법 개선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assembling methods of System Support for enhancing economic safety
- 경기대학교 재난안전연구소
- 재난안전논문집
- 재난·안전논문집 2017 제1호
-
2017.019 - 18 (10 pages)
- 254
최근 건설현장에서 시스템동바리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시스템동바리 붕괴사고가 계속 발생되고 있고 이로 인해 수많은 인명피해와 물적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붕괴사고는 시스템동바리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는 시스템동바리 부재인 가새재 미설치 또는 누락을 주요 원인으로 뽑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편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수평력 및 조립과정에서의 수직도 시공오차에 의한 횡변위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동바리에 가새재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도 시스템동바리부재를 조립하는 경우 단위부재마다 가새재를 설치하도록 하여 견고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시스템동바리 단위부재마다 가새재를 설치하도록 하여 수명하중에 저항토록 하는 규정은 과도한 안전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시공조건과 조립방법으로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시공하는 노력을 가새재 설치만으로 제한함으로써 실제 건설현장에서는 이러한 법 규정이 건설기술자에게 외면을 받게 되고 결국 이를 위반하여 시공하는 부작용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 수평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은 시공조건 및 조립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반영하여 시공할 수 있는 환경(관련 법령 개정 등)을 만들어 준다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동바리의 가새 부재수를 줄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반영하여 시스템동바리를 2차원으로 모델링한 후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규정모델의 최대변위 및 부재 웅력비 값의 비교ㆍ검토로 안전성 확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련산업안전보건법 규정의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록
1. 서론
2. 시스템동바리 구성 및 특징
3. 구조해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4. 시스템동바리 해석 모델링
5. 시스템동바리 안전성 분석결과
6.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