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구미 만국박람회에서 차와 다도, 도자기, 우키요에를 비롯한 일본 문화예술 전시는 자포니즘(Japonisme)으로 일컬어지는 일본취향(Japanese taste) 이 서구권에서 약 40년 동안 확산되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미국에서 일본 다도에 대한 관심은 흥미롭게도 동북부연안, 특히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미국 귀족계층이라고 할 수있는 소위 보스턴 브라민(Boston Brahmin)을 포함한 문화예술계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20세기 초에 극대화되었다. 이 중심에 있는 인물이 일본 전통 다도의식, 차노유 (cha-no-yu, 茶の湯)와 『차의 책 The Book of Tea』의 주인공, 오카쿠라 가쿠조 (Okakura Kakuzo 岡倉覺三, 법명 오카쿠라 덴신 Okakura Tenshin 岡倉天心)이다. 본연구는 이 시기 보스턴 지역 상류사회의 부유층과 지식층 사이에서 확산된 일본 다도에 대해서 오카쿠라 가쿠조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아울러서 그가 구미 독자를 의도 하여 뉴욕에서 1906년에 영어로 출간한 『차의 책』이 오늘날까지도 서구 학계와 문화 예술계에서 일본문화론을 이해하는 고전이자, 그의 저술 『동양의 이상 The Ideals of the East』과 더불어 저자의 일본 국가주의 내지 아시아주의적 성향에 대한 논쟁과 담론을 형성하는 구심점이 되는 배경을 논한다.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Japanese art and culture exhibitions at the world expositions served as a catalyst for widely spreading Japanese taste, called Japonisme, in the West for about 40 years. These exhibitions included Japanese teas, tea ceremonies, ceramics, and ukiyoe prints. Interest in Japanese tea ceremony in the United States was maximiz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specially in the New England region, centering on the elite community of the culture and arts, including the so-called Boston Brahmins, as wealthy, white patrons utilized Japanese cultural objects as a means to signify their refined and eclectic taste. The individual mainly responsible for this phenomenon was Okakura Kakuzo (Okakura Tenshin), a strong advocate of the cha-no-yu, Japanese traditional tea ceremony and author of The Book of Te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of Okakura Kakuzo in the Japanese tea ceremony spreading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 upper class society in the Boston area during this period of cultural politics of East-West exchanges. It also explores why his book, The Book of Tea, published in English for Western readers is considered a classic for understanding Japanese culture theory in Western academia and art world to this day, and how, with his other book, The Ideals of the East, it provides a framework for forming debates and discourses on his viewpoints or tendency for Japanese nationalism and Asianism.
I. 서 론
Ⅱ. 오카쿠라 가쿠조와 『차의 책 The Book of Tea』 문제
Ⅲ. 오카쿠라 가쿠조와 미국 문화예술계의 만남
Ⅳ. 미국문화 속의 일본 다도와 선사상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