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평가가 수학영재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Assessment on Self-Direct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 과학영재교육
- 제2권 제1호
-
2010.0445 - 71 (27 pages)
- 127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들을 서열화하거나 학습의 결과물로만 사용하던 평가가 학습의 한 과정 으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과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학급 학생을 대상 으로 자기평가 학습을 교수-학습에 적용했을 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학습과정에 자기평가를 적용하기 전에 실험집단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한 후 자기평가 학습 지를 12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평가 학습지를 풀고 나서 채점기준에 의해 스스로 채점을 한 후 교사에게 제출한다. 제출된 자기평가 학습지는 교사가 재 채점하여 학생들에게 되돌려 주고, 학생들이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학습에 대한 반성을 하게 하였다. 검사지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평가 학습을 학습과정에 적용하기 전보다 적용한 후에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향상 되었고 또한 실험반과 입학당시의 성적이 비슷한 학생들로 구성된 1개 반과 성적을 비교해 본 결과 실험반의 성적이 10여점 높게 나왔다. 이것은 자기평가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준 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해 스스로 점검하고 반성하는 연습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전체를 주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게 되었으며 이는 자기평가 학습이 영재아들에게 하나의 유의미한 교수-학습 전략이라 할 수 있다.
Evaluation in school education, which used to be only the consequences of learning or one way of grading students, has recently had a bigger and more important role with the evaluation being recognized as a process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ased on gifted students in high school, is to define explicitly how self-assessment affects their SDL. For this research, 32 gifted students in Kyungggi province, were taken to carry out an experiment with these methods. Prior to applying self-assessment to a process of learning, the experiment on self-assessment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after a survey using self-directed learning(SDL) tests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SDL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graded their own SDL test sheets with the designated standard of grading and submitted those papers to the teacher. Those sheets were graded again by the teacher and handed back to students. After that, students had time to correct wrong problems and examine themselves on learning. After this self-assessment, SDL test sheets were used again to figure out how the experiment group had changed. It turned out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SDL ability. Also,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grades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about ten points high. These are the meaningful results showing that self-assessment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by upgrading SDL ability. In conclusion, self-assessment is a critical studying method according to the fact that by examining themselves about the process and results of learning, learners could develop SDL ability.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결과 분석
IV. 결론 및 제언
(0)
(0)